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남다른 스웨덴 “시민의식이 코로나 방책”

2020-03-30 (월) 12:45:42 진달래 기자
크게 작게

▶ ‘신뢰 사회 자부심’ 지역 봉쇄 등 없이 느슨한 방역

코로나19는 지구촌 인구 3분의1의 왕래를 멈추게 했다. 각국은 국경 봉쇄와 자가 격리, 이동 제한 등 각종 통제 정책을 통해 감염병 확산을 막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이 나라, 스웨덴은 억제와 강요가 아닌 정반대 해법으로 질병에 대항하는 중이다.

BBC방송은 28일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의 풍경을 전했다. 마리아토르게트 광장은 평소처럼 나들이 나온 가족으로 북적댔고, 인근 식당 야외석도 주말 데이트를 즐기는 젊은이들로 가득 찼다.

10명 이상 모임을 금지한 덴마크, 식당 영업을 제한한 노르웨이 등 이웃 북유럽 국가와도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스웨덴은 현재 고교ㆍ대학만 개학을 연기했다. 손 씻기와 70대 이상 자가격리 권고, 500인 이상 대규모 모임 금지 등 통제 조치도 시행에 들어갔지만 국경을 단단히 틀어막은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하면 초보적 수준이다.


스웨덴은 시민사회의 ‘자기 통제’와 ‘책임감’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스웨덴 국립보건원에서 감염병을 연구하는 안데르스 테그넬 박사는 뉴욕타임스 “자발적 참여에 기반한 스웨덴의 질병관리 방식은 잘 운영돼 왔다”면서 금지 위주 정책의 비효율성을 지적했다.

개인을 향한 믿음은 ‘신뢰 사회’에 대한 자부심이 토대가 됐다. 스웨덴 역사학자 라르스 트라가르드는 NYT 인터뷰에서 “스웨덴 코로나19 전략의 근간에는 사회 내 높은 신뢰감과 엄격한 법이 있다”고 설명했다.

시민들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보건 전문가들의 결정에 정치적 개입은 없을 것으로 확신하고 조치를 성실하게 따른다는 의미다. 실제 지난주 스톡홀름의 지하철 및 통근 열차 탑승객 수는 평소 대비 절반으로 줄었고 대기업의 90% 가까이가 원격근무를 하고 있다.

이런 관점은 코로나19 국면에서 일반명사처럼 돼 버린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비판으로도 이어졌다. 다니엘 알드리히 노스이스턴대 교수는 워싱턴포스트를 통해 “사회적 유대를 강화하면서 ‘물리적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20일부터 ‘물리적 거리두기’란 말을 쓰기로 했다.

<진달래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