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영웅이란 남다른 용기와 재능, 지혜로 보통 사람들의 영역을 뛰어 넘는 비범한 사람을 뜻한다. 이 정의에 의하면 영웅의 삶이란 살면서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천성적으로 그렇게 타고났다는 생각이 든다. 인생의 황혼기에 나 자신을 돌아보며 진정한 영웅은 과연 어떤 삶을 살아가는 사람인가 하는 질문을 새삼스럽게 해 본다.
올해는 인간이 우주선 아폴로 11호로 달에 착륙한지 만 50년이 되는 해이다. 이 우주선의 세명의 비행사 중 유독 달을 밟지 못했던 마이클 콜린스는 나의 주의를 끌었는데, 두명의 동료 암스트롱과 올드린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욱을 남기는 동안 그는 우주선의 궤도비행을 계속했다. 달을 밟지 못해 섭섭하지 않았냐는 질문에 그는 자기에게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한 것으로 만족한다고 말했다. 겸손한 사람임에 틀림없다. 그의 저서 ‘달로 가는 길’ 서문에서 그는 영웅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영웅은 많지만 우주 비행사는 영웅이 아니다. 생면부지의 사람이 의식을 잃었을때 인공호흡을 해 주는 행인, 출혈이 난무하는 응급실에서도 묵묵히 할 일을 하는 간호사, 동지들을 구하기 위해 수류탄 위로 몸을 던지는 군인… 이런 분들이 영웅이며, 따라서 영웅으로 대해야 한다.”
나는 콜린스의 말에 동의한다. 타인을 위해 자기 자신을 어떤 형태라도 내어주고 희생을 감수하는 삶이 영웅적 삶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의 주위에서도 이러한 삶을 사는 분들을 종종 만나게 된다. 사회에서 소외 당하는 연약한 장애우들을 사랑하여 20대 청년이 신학대학 재학시부터 거의 40년 가까이 온 일생을 이 연약한 자들을 위해 헌신해오고 있는 K목사. 비록 누구도 이 분을 영웅으로 부르지 않더라도, 자기 자신을 죄인들을 위해 내어주신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삶을 사는 이 분을 존경하고 사랑하며 그에게 영웅 칭호를 붙여주고 싶다. K목사 같은 삶의 모습은 결코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영국에는 600여년 전통을 자랑하는 유명한 이튼 칼리지 고등학교가 있다. 지금까지 19명의 총리를 배출한 이 학교는 자신만 아는 엘리트는 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정신은 학생들의 마음에 각인된 “약자를 위해”, “시민을 위해”, “나라를 위해”라는 글귀에 잘 나타나 있다. 졸업식 송별사에서 어떤 교장은 “우리 학교는 자신이 출세를 하거나 자신만이 잘 되기를 바라는 사람은 원하지 않습니다. 주변을 위하고 사회나 나라가 어려울때 제일 먼저 달려가 선두에 설 줄 아는 사람을 원합니다”라고 말했다. 만일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정신으로 장래 지도자를 키우는 학교가 있다면 이기주의가 팽배한 지금의 모습과는 많이 다른 나라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마음이 든다.
얼마전에 한국일보에 소개한바 있지만, 자기 가정의 비극을 사회봉사로 승화시켜 활동하고 있는 고등학교 동기 K형이 있다. 학교 폭력을 견디지 못해 고등학생 아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뼛속 깊이 쓰라린 아픔을 당한 후, 다시는 그러한 비극이 누구에게도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염원에 잘 나가던 직장을 사임하고 사재를 털어 27년전에 푸른나무 청예단(청소년 폭력예방 단체)을 설립하여 온 몸을 던져 활동하고 있다. 계란으로 바위를 깨려는 시도처럼 관계기관의 냉대와 백안시, 자금 문제, 개척자의 외로움과 고뇌를 이기고 이 재단은 이제 뿌리를 깊게 내려 열매를 많이 맺는 튼튼한 나무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올해 9월 9일에는 한국인으로는 16번째로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막사이사이’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
“학교 폭력으로 자녀를 잃은 아픔을 이겨내고 학교 폭력 예방과 비폭력 문화 확산에 힘쓴 공로가 있다”는 것이 수상 결정의 내용이다. 본인의 슬픔을 뛰어 넘어 아들이 당한 비극으로부터 수 많은 청소년들을 구해 내기에 오늘도 혼신을 다 하고 있는 K형! 이 친구의 희생의 삶이 나의 가슴에 깊은 울림을 주기에 나는 그를 영웅이라 부르고 싶다.
<
박찬효 / 약물학 박사, 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