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루터 킹 데이’(Martin Lu ther King. Jr. Day)는 미국의 국경일이다. 개인의 생일을 국경일로 정한 것은 조지 워싱턴과 킹 목사뿐이다.
킹 목사를 흑인 인권운동의 영도자 정도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킹 박사는 흑인만을 생각한 것이 아니라 백인을 위시한 모든 인간의 권리와 복지를 위하여 싸웠다.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여 인류가 서로 협조하고 존중하는 평등한 사랑의 공동체를 꿈꾼 것이다.
킹 박사의 민권운동은 반항이 아니라 협조와 모두의 복지를 호소한 것이며 싸움이 아니라 예수의 사랑을 실천하고자 한 것이다. “나는 예수의 사랑정신과 간디의 무저항(無抵抗)주의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그는 고백하였다.
킹 목사는 노벨평화상 수상여설에서 말하였다. “폭력을 쓰지 않는 것만이 현대의 혼란한 정치와 도덕에 대한 해결책이다. 압제와 폭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또 다른 종류의 폭력을 써서는 안 된다. 비폭력은 아프고 괴로운 과정이지만 거기에만 속량(贖良, redeem)의 힘이 있다. 예수는 ‘검을 쓰는 자는 검으로 망한다.‘(마태복음 26:52)는 비폭력의 원칙을 제시하셨다,“
킹 목사가 가장 고통스런 시절에 ‘크리스천 센추리’지에 기고한 글이 있는데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나는 지난 몇 년 동안에 편안한 날을 별로 갖지 못했다. 앨라배마 교도소에 다섯 번 갇혔다. 내 집이 두 번 폭파되었다. 나와 나의 가족을 죽이겠다는 전화를 며칠에 한 번씩 받았다. 나는 칼에 찔려 죽을 고비를 넘겼다. 더 이상 이 무거운 짐을 지고 갈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정말 조용하고 쉽게 살고 싶은 유혹을 시간마다 받는다. 그러나 이런 생활을 통하여 고통이 오히려 나를 강하게 만든다는 것도 체험하였다. 신앙생활의 유익이 여기에 있지 않겠는가!”
킹 목사의 위대함은 그가 꿈의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불가능한 현실 속에서도 꿈을 가졌고 부조리와 불의와 폭력의 난무(亂舞) 속에서도 꿈을 잃지 않았다. 그는 바위에 계란 던지기 같은 상황 속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빈손으로 약한 민중을 이끌고 전진하였다.
꿈이란 그것이 고상하고 남을 위한 것일수록 행복의 에너지가 된다. 가난한 사람이란 돈이 없는 자가 아니라 꿈이 없는 자이다. 킹 박사의 유명한 연설 ‘나는 꿈을 갖는다.’를 다시 한 번 들어보자.
“나는 꿈꾼다. 나의 아들들이 피부의 색깔이 아니라 그들의 품성과 인격으로 평가될 날이 반드시 올 거라고...나는 꿈꾼다. 이 나라가 모든 사람에게 자유의 천국이 되고 우리가 손을 잡고 함께 일하고, 함께 기도하고, 함께 즐길 평화의 동산이 반드시 올 것이라고...나는 꿈꾼다 낮은 골짜기는 돋워지고 높은 언덕은 낮아지고 황무지가 평탄해지며 신의 영광과 공평이 두루 펴질 날이 반드시 올 것이라고...나는 꿈꾼다. 절망의 산에서 희망의 돌을 캐 낼 수 있음을. 이 나라를 덮은 시끄러운 불협화음(不協和音)을 아름다운 교향악으로 바꿀 날이 반드시 올 것이라고...”
당신도 평화에 공헌할 수 있는데 그대가 두 가지만 실천하면 된다. 하나는 악과 부조리를 고발하는 용기이고, 다른 하나는 “어떤 절망 속에서도 굴복하지 마십시오. 희망이 있습니다.”하고 외치는 것이다.
유명한 비폭력주의자로는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와 일본의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를 들 수 있다. 간디는 맨 손으로 민중을 이끌고 대영제국의 막강한 군사력과 대항하였다. 우치무라는 일본의 군국주의를 정면으로 반대하여 일로(日露)전쟁에 항거하였다. 최근 한국의 사법부가 양심적 병역기피자를 무죄 석방한 것은 세계에 내놓을 만한 자랑거리이다.
<
최효섭/아동문학가·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