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숙자 문제 심각해 지지만 “내가 사는 곳에는 안돼”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홈리스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사회 곳곳에서 이에 반발하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브라운 제리 주지사는 최근 홈리스 문제 해결에 5억달러를 할당하는 예산안에 서명했다.
가주 의회 의원들은 또 노숙자와 장애인 등의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하우징 시설 건립 시 환경심사 등 잡다한 승인 절차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상정을 추진중이다.
사우스베이 지역 권익운동단체인 데스티네이션의 제니퍼 러빙 CEO는 “사람들의 삶이 달린 문제의 처리를 인위적으로 지연시켜서는 안된다”며 해당 법안을 지지하는 이유를 밝혔다.
산타클라라 카운티에서는 최근 하우징 문제 해결을 위한 10억달러 기금 조성안이 투표로 통과된 가운데 홈리스 출신으로 6개월 이상 안정적인 주거지에 거주한 경우 위급 서비스 이용이 8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오클랜드시와 LA시도 홈리스 하우징 시설 추가 건설을 위해 법안 개정에 나서고 있는 등 지자체 차원의 홈리스 문제 해결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산호세의 한 시민단체는 홈리스 수용 하우징 시설 건립에 반대해 시 관계자들 앞에서 총 자료 100페이지에 달하는 프레젠테이션을 하기도 했다.
그들은 프레젠테이션에서 90년대 덴버의 한 지역에서 홈리스 시설 건립이 어떻게 범죄율 상승으로 이어졌는지 분석한 한 연구자료를 인용해 “이런 시설은 범죄 위험을 높혀 지역 주민들에게 해롭다”고 주장하면서도 “우리는 홈리스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지한다”고 했다.
이 단체 대표는 이번 해 산호세 시의원 선거에도 도전했으나 낙선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해당 자료의 범위가 너무 협소해 그러한 주장이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하며, 홈리스 시설이 주변 땅값이나 범죄율에 영향이 없다고 말한다. 웰튼 조던 EAH 하우징 부회장은 홈리스 시설들이 안전하게 관리돼 지역사회에 악영향은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한 권익단체 관계자는 “보통 ’홈리스 수용 시설을 지으려고 하는데 거기 살게 될 50명 정도가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고 말하면 주민들에게 환영을 받지 못한다”고 말했다.
<
안재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