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진정한 정치인이 되기를

2018-06-16 (토) 김명욱 객원논설위원
크게 작게
정치(政治/politics). 정은 바르게 친다 란 뜻. 치는 다스릴 치로 정치란 바르게 쳐서 다스린다는 의미다. 치의 좌측 변은 물(水)변이다. 의미를 풀면 물을 바르게 다스린다는 뜻이다. 정치와 종교는 어떤 면에선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옛적 홍수가 많이 날 때 이 홍수를 다스려 백성을 안전하게 해 주는 것이 치였음에다.

국가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부족이 있었다. 부족에선 부족장이 부족을 다스렸다. 부족장은 부족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보살펴 주고 병든 자에겐 기도하여 병이 나아지기를 하늘에 빌었다. 가뭄이 들 때나 홍수가 날 때에 부족장은 모든 부족을 위해 물을 막아야 했고 물을 저장했다, 가뭄에 대비해야 했다. 이것이 정치였다.

지금의 정치는. politics. 어원은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polis에서 왔다. 폴리스란 ‘국가의 업무’로 통치한다는 의미가 들어있다. 뜻은 간단하다. 그러나 정치란 한 마디로 말할 수 없는 복잡함을 지니고 있다. 미국의 대통령 트럼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 김정은, 그리고 대한민국대통령 문재인의 정치 스타일.


다 다르다. 미국은 엄연한 자유민주주의 국가다. 남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북한은 이름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지 민주주의 나라가 아니다. 왕조요 독재다. 정치의 기본이념인 민생을 위한 정치가 아니다. 체제를 구축하고 보호하기 위한 정치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왕조 세습 구축의 방편에 불과하다.

두고 볼 일이다. 역사는 돌고 돈다.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정상회담이 무사히 끝났다. 아니 끝난 게 아니라 이제부터 시작에 불과하다. 주어진 과제와 넘어야 할 산은 너무나 많고 험하다. 트럼프와 김정은. 둘은 북의 완전한 비핵화에 서명했다. 이 서명은 누구를 위한 서명인가. 트럼프는 미국의 백성과 안전을 위해 했다고 치자.

그렇다면 정치, 즉 바른 정치를 하는 거다. 자신이 대통령으로 있는 나라에 사는 백성들을 보호하고 지켜주기 위함이니까. 그러나 북미공동성명이 트럼프의 인기와 재선, 혹은 정당의 홍보를 위한 제스츄어였다면 그건 바른 것이 못된다. 김정은의 서명은. 정말 북에 사는 2,500여만 명의 북한 인민을 살리기 위한 서명이었을까.

밖으로 보기에는 그럴 듯하게 그런 것 같다. 그러나 조금만 더 그 속을 들여다보면 아닌 것 같다. 체제구축을 위한 시간벌기. 아님, 테러국가 혹은 대북제재에서 벗어나려는 거짓된 몸짓일 수 있다. 싱가폴에서의 둘의 만남. 특종뉴스가 되어 지상에 퍼졌고 세계는 환영했다. 핵미사일이 머리위로 떠다니는 일은 벌어지지 않을테니까.

그러나 더 두고 볼일이다. 언제 또 트럼프와 김정은의 마음이 변할지 도무지 알 수 없는 두 사람이기에 그렇다. 그들은 정치가가 아니라 도박을 하는 사람들 같다. 진정 민생을 위해 하늘이 가물지 않기를 기도하고 홍수를 대비해 방축을 쌓는 사람들이 아니라 자기 방어와 인기몰이에만 치중하는 쇼맨쉽의 사람들 같기에 그렇다.

북미정상회담으로 앉아서 득을 본 문재인. 이번 남한의 6.13지방선거와 보궐 선거. 더불어민주당이 거의 싹쓸이 했다. 보수는 경북과 대구만 빼고 완전 침몰했다. 부자들과 보수들이 모여 산다는 서울의 강남도 보수 완전 참패다. 아마도 남북정상회담에 이어진 북미정상회담이 가져다 준 남한 민심의 변화가 아닐까 싶다.

변해도 어떻게 이렇게 변할 수 있을까. 한반도의 변화가 금방 무슨 큰일이라도 날 것 같다. 무슨 일. 통일. 그래 어떤 통일이 될까. 김대중정부가 원했던 연방제 통일이라도 될 건가. 서울과 지방을 거의 싹쓸이 한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의 정치. 그 정치가 김정은이가 아닌 진정 나라와 백성을 위한 정치가 되기만을 바랄뿐이다.

북의 인권보다 더 중요한 건 한반도의 평화란 글을 한국의 언론인이 썼다. 정말일까. 한반도와 전 세계의 평화. 참 좋은 거다. 정도(正道)를 우습게 아는 두 정치인. 트럼프와 김정은. 그리고 어부지리로 한 몫 보는 또 한 사람. 문재인. 이 세 사람. 백성을 위해 홍수를 막아 다스리는 진정한 정치인(政治人)이 되기를 간구해 본다.

<김명욱 객원논설위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