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북 억류 한인 3명, 워싱턴 도착

2018-05-11 (금) 12:00:00
크게 작게

▶ 트럼프 대통령 “김정은에 감사”

▶ “미북 새 기반 위서 시작”...방북 용의 묻자 “가능한 일”

북 억류 한인 3명, 워싱턴 도착

10일 새벽 트럼프 대통령이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나 미국으로 돌아온 한인 3명을 맞이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박수를 치는 가운데 풀려난 한인들이 손을 흔들어 보이고 있다.오른쪽부터 김동철, 트럼프 대통령, 김학송, 김상덕. 왼쪽부터 펜스 부통령, 멜라니아 여사.[AP]

북한에 억류돼 있다가 전격 석방된 한국계 미국인 김동철, 김상덕(미국명 토니 김), 김학송 씨 등 3명이 10일 미국으로 귀환했다.

이들을 태운 미 군용기는 현지시간으로 이날 오전 2시42분(SF시간 일 오후 11시 42분)께 워싱턴DC 인근 메릴랜드 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했다. 이보다 약 10여분전인 2시30분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 일행을 태운 전용기도 앤드루스 기지에 착륙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내외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 내외와 함께 앤드루스 공군기지로 직접 마중을 나가 귀환한 미국인들을 맞이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과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도 함께 마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석방된 미국인들을 태운 군용기로 직접 올라가 이들을 데리고 나온 뒤 기자들에게 "이 세 명의 위대한 이들을 위한 특별한 밤"이라며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아주 중요한 일"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들을 석방해 준 데 대해 김정은 위원장에게 사의를 표하면서 "우리(미국과 북한)는 새로운 기반 위에서 시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향후 북한을 방문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가능한 일"이라고 답했다.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진행될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전망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그(김정은)가 뭔가를 하기를 원하고, 그의 나라를 현실 세계(the real world)로 이끌고자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기자들 앞에 선 김동철 씨는 "꿈만 같다. 정말 정말 행복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석방된 이들 미국인 3명은 곧바로 워싱턴DC의 월터 리드 육군 의료센터로 이송돼 검진을 받았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