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기승부리는 보이스피싱 자기방어 밖에 없다

2016-04-28 (목)
크게 작게

▶ 사설

한인사회에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이 활개를 치고 있어 주위가 요망된다. 계속되는 홍보에도 불구하고 사기수법이 갈수록 진화되면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인사회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은 ‘당신의 은행계좌 정보가 유출됐으니 다른 계좌로 입금해주세요’가 기본이다. 영어가 서툰 이민자를 상대로 한 크레딧카드 연체대금 납부를 요구하는 전화금융사기는 연중무휴이고, 세금철만 되면 연방 국세청(IRS) 직원을 사칭한 ‘밀린 세금독촉’이나 ‘세금환급’ 거짓 수법도 기승을 부리는 실정이다. 경찰을 사칭해 노인을 상대로 ‘손자가 경찰에 체포됐다. 당장 보석금을 보내지 않으면 감방에 가게 된다’는 수법도 쓰고 있다. 전화사기에는 ‘가족납치’도 심심치 않게 동원된다.

더불어 불법체류 신분을 악용하는 이민국 직원 사칭 보이스피싱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보이스피싱 사기수법은 이미 다들 알고 있다. 그럼에도 한인들의 피해가 끊이지 않는 것은 그만큼 이들의 수법이 날로 다양하고 교묘해지고 있는 이유다.


한인들은 보이스피싱을 잘 알고 있다가도 막상 본인이 금융사기 전화를 받으면 당황하거나 피해를 당하기 일쑤이다. 피해자들은 공통적으로 “남들이 당할 땐 ‘왜, 저런 허술한 수법에 당할까’ 싶다가도 막상 전화를 받으면 당황스러워 이성적 판단이 어려웠다”고들 말한다.

이제 전화금융사기 수법은 점차 지능화, 조직화되어 가고 있어 누구나 표적이 될 수 있다. 피해자가 되지 않으려면 개인정보를 지키는 등 ‘자기방어’에 나서는 길밖에 없다. 대응의 3대 원칙은 ‘의심, 확인, 무시’다. 의심스런 전화나 문자 메시지는 전화를 끊고 직접 해당기관에 확인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정부기관, 경찰, 은행 같은 기관은 절대로 전화나 문자로 개인정보나 계좌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숙지해야 한다. 만약 상대방이 의심나는 ‘돈’ 이야기를 꺼내면 그냥 끊으면 될 일이다.

돈은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관리가 훨씬 중요하다. 전화금융사기 피해를 막으려면 본인이 예방법을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