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기자의 눈/ ‘위안부(Comfort Women)’명칭 변경 캠페인에 거는 기대

2012-09-20 (목)
크게 작게
이진수(사회 2팀 차장)

대한민국 월남전 참전자회 뉴저지지회(회장 조병모)가 ‘위안부(Comfort Women)’ 명칭 변경 캠페인을 시작했다. 일본 정부가 올해 5월 뉴저지주 팰리세이즈 팍에 세워져 있는 ‘일본군 강제 위안부 기림비’ 철거를 공식 요구하면서 촉발된 한인사회의 공분이 ‘위안부 명칭 변경 캠페인’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어서 결과가 기대된다.

참전자회는 ‘위안부(Comfort Women)’라는 명칭을 ‘일본군 강제 위안부(Sexual Slavery Victimsdrafted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종군위안부’라는 명칭은 일본 극우단체들이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려고 사용해온 표현이라며 이에 대한 한인사회의 인식증진을 촉구했다. 위안부 명칭에 대해 가장 먼저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단체는 한국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다.


협의회는 1995년 ‘위안부’를 ‘일본군 위안부’로 영어로는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일본군 성노예)’로 쓰기로 결정했다. 이후 1998년 유엔 인권소위원회 보고서에 ‘일본군 성노예(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라는 표현이 등장하면서 국제사회에 ‘위안부’ 문제의 본질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참전자회의 ‘위안부(Comfort Women)’ 명칭 변경은 미국내 첫 번째 캠페인으로 한인사회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참전자회는 가장 먼저 ‘팰팍 일본군 강제위안부 기림비’와 2010년 5월 팰팍 타운정부가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에 쓰여진 ‘Comfort Women’ 문구 변경을 공식 요청키로 했다. 이에 타운 정부는 명칭 변경 민원이 공식 접수되면 곧바로 심의절차를 거쳐 논의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정부가 채택한 공식 문건 특히 비석에 까지 새겨진 내용을 바꾸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유엔이 이미 ‘성노예(Sexual Slavery)’라는 표현을 사용했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도 최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등 명칭 변경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일본이 저지른 전쟁범죄 특히 여성의 인권을 침해한 일본군 강제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미국 정치권에 알리는 일이기도 하다. 일본 정부를 상대로 평생을 싸워 온 일본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들의 무거운 짐을 이제는 우리가 대신 짊어져야 한다. 이는 일본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가 다름 아닌 바로 우리의 어머니, 할머니이기 때문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