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인사회 리더십, 그것이 중요한 정치력이다

2012-04-27 (금)
크게 작게
김동석(한인유권자센터 상임이사)

LA폭동은 한흑 간의 문제가 아니다. 당시 폭동으로 체포 구금된 인종별 비율을 보면 라틴계가 흑인에 비하여 거의 10% 이상 높았다. 흑인이 38%, 그리고 백인이 10%가 넘는다. 일반 대중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흑인들 가운데에 단지 적은 비율만이 한인에 대해서 적대적인 감정을 갖고 있다. 또한 한인업소 불매운동을 대다수의 흑인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민병갑 교수가 1992년(폭동직후) 뉴욕에서 실시한 서베이 연구결과를 보면 흑인 응답자들 중에서 26%만이 불매운동을 지지했고 그보다 적은 14%만이 한인업소를 거래하지 않겠다고 했다.

민 교수는 연구결과로 반한인 감정이 흑인사회에 광범위한 것이 아니란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한인업소가 흑인들의 공격을 받았던 이유는 한인사회를 대표하고 대변하는 한인대표가 없었던 탓이다. 4월29일은 미국에 사는 한인들이 결코 잊을 수 없는 날이다. 우리의 처지를 정직하게 깨닫기 위해서 너무나 값비싼 대가를 치렀다. 첫째도, 둘째도 정치력이다. 한인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리더십의 정치력과 한인커뮤니티의 결집된 정치적인 힘, 두 종류의 정치력이다. 이것이 부재했기 때문에 폭동의 피해커뮤니티가 된 것이다. 선출직을 향한 한인커뮤니티의 집단적인 정치력은 아주 장기적인 일이다.


한인유권자센터는 그것을 위해서 30년을 잡았다. 유권자등록과 투표참여, 두 가지가 핵심적인 실천이다. 지난 20여 년 동안의 노력으로 몰표(유권자와 투표율의 결합)를 만들었다. 투표참여를 통해서 결집되고 신장된 정치력(30년 프로젝트)은 아직 큰 힘은 아니지만 정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인사회의 여기저기에 주류 정치인들이 나타나고 한인정치인들이 배출되는 것이 이것을 설명한다.

한인사회 이슈가 독도라 하면 “독도는 한국의 땅”이란 목소리가 오히려 우리보다 더 높다. 동해병기라 하면 국무부(지명위)엔 물론이고 모나코에서 열리는 국제수로기구 회의장에 파견된 미국대표까지 찾아준다. 한인2세 대법관 낙마에 관해서는 자기당의 하위정치인이 미숙하게 판단했다고 자기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한인유권자센터는 요즘처럼 신나는 때도 없다 )

한인2세인 ‘필립 권“씨가 뉴저지 주 대법관으로 지명되었다가 주 상원 법사위에서 낙마했다. 대법관의 법사위에서 낙마는 뉴저지 주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 민주당의원 한 사람이 동의하고 찬성했다. 그러니, 한인커뮤니티를 지역구로 하는 의원이 반대한 원인은 그들이 한인커뮤니티를 호구로 봤기 때문이란 설명 외엔 이해할 방도가 없다.

그런데 수일 전 정말로 참기 힘든 일이 다시 벌어졌다. 한인사회의 분노를 눈치 챈 민주당에서 한인사회 지도급들과 미디어를 불렀다. 지금에라도 누굴 추천하면 대법관을 시켜주겠단다. 아마도 한인들은 대법관이 야당에서 추천하여 주지사가 임명하는 줄 알고 있다고 판단했나 보다. 게다가 그 내용이 한글매체엔 마치 큰 대가를 받은 것처럼 대대적으로 보도되었고, 또 누구는 벌써 3명이나 추천을 받았다고 알리고 있다. 한인들이 이번엔 메가톤 급으로 호구가 되었다. 정말로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리더십의 정치력은 요연한 것일까? 폭동의 교훈을 옳게 깨달아야 하겠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