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어린이 건강 - 자녀의 나쁜 손버릇

2009-08-18 (화) 12:00:00
크게 작게
때로는 부모가 아이가 뭔가를 훔치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럴때는 부모가 이걸 어떻게 처리 하나, 이게 무슨 뜻 인가, 뭔가 정말 잘못 된것인가 등 스스로 질문할 수 있습니다. 이해 하실 것은 대부분의 아이들은 어린 시절에 뭔가 한번은 훔칩니다.

훔침은 소아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들 중 하나입니다. 많은 부모들은 남의 것을 훔친 자녀가 있어도 다른 사람들에게 그런 행동에 대해서 말하지도 않고 전문가를 통해서 곧 해결하지도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의 것을 훔친 아이들의 수가 정말로 얼마나 많은지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훔침의 원인은 여러 가지이고 나이에 따라서 틀립니다. 내 것과 네 것을 구별할 줄 모르는 4세 이전의 유아들은 무엇이든지 자기 것이라고 소유하고 싶은 충동을 정상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부모로부터 소유권에 관한 개념을 배우고 소유권을 갖는 것에 관한 훈련을 제대로 받지 않거나 부적절한 훈련을 받으면 아이가 소유권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 남의 것을 자기 마음대로 자기 것으로 가져도 되는 줄로 잘못 알고 남의 것을 소유하게 됩니다. 원한는 것을 볼 때 그것을 원하고, 가지고, 이제 제겁니다 라고 생각합니다.

더 나이가 들면 친구의 호의를 얻기 위해서 남의 것을 훔칠 수 있습니다. 친구들이나 또래들, 또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호기심을 사기 위해 그들에게 돈, 과자, 아이스크림, 껌 등을 주기 위해 돈이나 그런 물건을 훔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와 자녀의 관계나 또는 다른 사람들과 그 아이의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있는 문제라든지, 또는 실제적으로 없는 문제 이지만 그 아이가 부모나 다른 사람에게 복수하는 수단으로 무엇을 훔칠 수 있습니다.

특히 부모로부터 조건 없는 진정한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든지, 부모로부터 학대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아이가 부모를 괴롭히고 부모의 가슴을 아프게 하는 수단으로 무엇을 훔칠 수 있습니다. 이외의 다른 이유들이 있습니다.

아이가 남의 것을 훔쳤을 때 그 아이가 훔친 것이 아무리 사소해도 그 행동을 묵인하거나 경솔하게 다루어서는 안 됩니다. 하지만 과민 반응도 주의하십시오. 소아들이 무엇을 훔쳤을 때 그 훔친 행동을 잡을 때 “절도” “도둑”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훔치는 행동은 옳지 않고 묵인할 수 없는 나쁜 행동이란 것을 확실히 말해 줍니다.

훔쳐온 것은 빨리 소유자에게 돌려주고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는 그 아이 자신이 잡일을 하던지 그 아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용돈으로 그 훔친 물건에 대한 보상을 적절히 하던지 부모가 그 자녀대신 보상해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의 훔침을 심각하게 받아 그 결과에 대해 얘기하고 사과를 추출하십시오. 하지만 아이가 범죄자라고 행동하지 마십시오. 아이가 무엇을 훔쳤다고 해서 창피를 주거나 심한 체벌을 피하십시오. 정직하게 사는 방법을 부모가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모범적으로 보이고, 정직하게 살아야 한다는 것을 훈육시키면서 키우세요.

모든 부모들은 물론이고 우리 사회의 성장하는 소아들에게 솔직하고 정직하게 사는 법을 솔선수범해서 보이는 것이 훔침을 예방하는 키입니다. 필요에 따라 소아과 의사와 소아 정신과 의사의 상담도 받을 수 있습니다.

백우현
(213)291-3228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