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자연스러움 기대했다가, 불안·우울”… 유방암 재건수술, 뜻밖의 연구 결과

2025-11-04 (화) 12:00:00 안경진 의료전문 기자
크게 작게

▶ 삼성서울병원 성형외과·유방외과 연구팀

▶ 유방암 환자 2만5,000명 9년 추적 관찰
▶ 유방 재건방식에 따른 정신건강 영향 평가

유방암 수술 후 유방을 재건할 때 자가조직을 선호하는 환자들이 많지만 정신건강에는 인공 보형물 삽입이 더 나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전병준 성형외과 교수와 박찬우 전공의, 유재민·박웅기 유방외과 교수, 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를 이용해 유방암 환자 2만4,930명을 최장 9년에 걸쳐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방 재건방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자가조직 그룹(5,113명)과 보형물 그룹(1만4,738명)을 성향점수매칭으로 1대 3으로 나눠 비교했다.


분석 결과 유방을 재건한 환자들의 불안, 우울증, 양극성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수면장애, 물질사용장애 등 정신질환 발병 위험은 자가조직 그룹이 보형물 그룹보다 13% 더 높았다. 특히 불안장애의 상대 위험도는 25%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들의 일반적인 선호도와 정신건강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나타난 것이다.

연구팀은 자가조직 재건의 특성상 비용 부담이 크고 지난한 치료 과정을 거쳐야 하다 보니 기대치가 자연스레 커진 탓이라고 분석했다. 기대에 비해 만족도가 낮다 보니 실망과 심리적 충격이 더 컸을 수 있다는 것이다. 조직을 채취한 부위의 통증, 흉터 등도 환자에게 정신적 악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고 봤다. 유재민 교수는 “같은 유방암 환자라도 50세 이상 연령대는 자가조직 재건 시 정신질환 발생 위험이 더 가파르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며 “의료진과 충분한 상의를 거쳐 어떤 재건방식이 적합할지를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안경진 의료전문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