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감기예방

2008-12-15 (월) 12:00:00
크게 작게
진국광<제생당 한의원장>

변화가 심한 계절이다. 낮밤 온도 차가 심해 더운 공기와 찬 공기가 반복될 때 면역이 약한 사람은 기후의 변화를 이기지 못하고 병에 걸리게 된다.가장 흔하게 기침을 동반한 감기에 걸리게 되는데 한의학에서는 외사에 의한 감기 기침이라고 한다.한의학적 치료로는 기침이 찬 기운인가 더운 기운인가를 구별한 다음 외사를 제거하고, 호흡기(폐) 기를 상승시켜줘 자연적으로 기침을 멈추게 한다.한의는 기침 감기를 크게 세 종류로 구별한다.

첫째, 찬 공기가 폐를 침범할 경우 증상은 기침이 깊고 숨이 차고, 호흡이 가쁘며, 가래는 대개 연하고, 두통을 동반하면서 몸살, 재채기, 오한이 생긴다.치료를 위해 행인, 자소, 반하, 생강, 지곡, 전호, 길경을 사용한다.


둘째, 더운 공기가 폐를 침범할 때 입이 마르고 목이 아프며 열과 오한을 동반한다. 소변색이 진하고 변비가 생길 수 있다.치료로는 열기를 없애주고 가래를 섞여주는 약을 쓰는데 주로 상엽과 국화, 연교, 박하, 노근, 황금, 지모를 사용한다.

셋째, 바람이 폐를 침범할 경우 마른 기침을 하고 가래가 끈적하며 몸에 붙어 있고 가슴이 답답하고 아프며 혀는 붉고 황태가 낀다.
치료로는 가래를 제거하고 폐를 습하게 해주기 위해 쌍엽, 행인, 사삼, 상패, 산치(치자), 이피, 고루, 천화분을 사용한다.

예방을 위해서는,첫째, 기후의 변화가 심한 계절에는 옷을 적절하게 입는다.둘째, 감기가 만연하는 계절에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를 가능한 피하고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는 감기 백신 주사를 맞을 것을 권한다.
셋째, 감기 중에는 가급적 너무 기름진 음식(특히 튀긴 음식)과 자극성 있는 음식, 찬 음식을 피한다. 담배도 끊고 수분을 많이 섭취한다.

넷째, 운동을 자주 해 몸의 면역을 높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