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원 <소아과 전문의>
마리화나 매매 또는 섭취하는 행위는 미국에서는 범법행위로 간주한다. 마리화나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습관성 환각물질로 5,000~7,200만 명의 12세 이상 미국 사람들이 적어도 한번정도가 마리화나를 사용해 봤으며 50%의 미 12학년생들이 생후 적어도 한 번 또는 그 이상, 38.5%의 미 12학년생들이 지난 1년 동안 마리화나를 피웠다고 한다.
마리화나의 학명은 캔비노이드(cannbinoids)로 주성분은 THC이다. 마리화나의 동의어로는 대마초, 팟(pot), 도프(dope), 리퍼(reefer), 그래스(grass), 위드(weed), 허브(herb), 간자(ganja), 메리제인(Mary Jane), 붐(boom), 갱스터(gangster), 크로닉(chronic), 조인트(joint), 네일(nail), 블런트(blunt)등이 있다. 대마초의 어느 부위에서 채취해 마리화나를 만들었나에 따라 신세밀라(Sinsemilla), 해쉬스(hashish), 해쉬오일(hash oil)이라 불리며 부분에 따라 마리화나 성분 강도가 다르다.
담배 피우듯이 마리화나를 섭취할 수 있고, 경구나 혈관 주사로도 섭취할 수 있다. 음식물이나 티, 또는 다른 마약과 같이 섭취하기도 한다. 마리화나 성분은 피를 통해 몇 초~몇 분 내에 뇌, 심장, 폐, 콩팥 등 신체 각 기관으로 흡수된다. 소량이나 중등도 량을 섭취 후 30분 정도에 혈중 THC 농도가 낮아지기 시작하나 THC는 지방 조직에 축적되고 혈청 반감기는 19시간이다. 섭취한 마리화나(THC)의 대부분은 소변과 대변으로 배출된다. 피를 통해 뇌 속으로 흡수된 THC는 뇌 생화학 시스템과 상호 작용해 행동장애 등 신체조화와 운동에 영향을 주고 도파민 생성이 촉진된다.
그로 인해 기분이 좋아지고 도취감, 환상 등과 함께, 기억력과 학습능력 장애, 시력 청력 시각 촉각 지각 장애, 사고 능력 장애, 불안, 당황, 공포, 환각 등의 중독증상에 빠진다. 이런 증상은 섭취한 량과 강도, 일시적 또는 만성적으로 중독되었느냐에 따라 다르다. 경구 섭취 후 30~60분에 신체 각 기관으로 흡수되고 거의 같은 증상이 생긴다.
또 심장혈관계, 기관지 확장이나 수축, 호흡기 기능장애, 천식, 기관지 점막 세포 종양 발생성 변화, 일산화탄소 농도 증가 등 호흡기계, 정자생산 감소, 정자운동성 감소, 혈청 테스토스테론 감소, 배란의 장애, 월경 불순 등 남녀 성 생식기와 기능계 등에 부정적으로 영향 주고, 기형아 출산을 촉진한다.
에너지 상실, 무기력, 욕망상실, 효력상실, 장기계획 능력상실, 집중력결여, 기억력 상실, 직업수행 능력이나 학교공부 능력감소 등의 마리화나 중독증상이 있을 때 동기조성 증후군(amotivational syndrome)이라고 한다.
마리화나 중독자들의 대부분은 마리화나에 중독 되기 이전에도 정신 정서적 문제가 있었고 공존이환병률이 더 높은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헤로인 또는 엘에스디 등 다른 습관성 물질에도 중독 될 수 있다.
마리화나 중독 된 후 마리화나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끊은 후 24~28시간에 독감 증상과 비슷한 금단증상이 생기고 마리화나 열망감craving이 생기고 정신 육체적 노곤, 신경과민, 불면증, 신체요동, 야간 발한 등의 금단증상이 생기도 끊은 후 4일에 이런 금단증상은 최고에 달한다.병력, 신체검진, 피, 소변 검사로 진단한다. 소아과 전문의, 정신과 전문의, 임상심리전문가, 교육자, 사회복지가, 약물카운슬러, 부모, 가족모두가 서로 협조하고 합심해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