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현지시간) 미국 접경 지역 도로 통제하고 시위하는 멕시코 농민들[로이터]
멕시코에서 농장 노동자들이 수자원 사용에 대한 정부 통제를 강화하는 법률 개정안에 반대하며 시위에 돌입했다.
25일(현지시간) 멕시코 내무부 보도자료와 북부 지역 주 정부 엑스(X·옛 트위터)에 따르면 수도 멕시코시티를 포함한 32개 주(州) 가운데 16개 주에서는 농민을 중심으로 한 시위대가 도로 곳곳에서 차량 운행을 막고 집회를 벌였다.
전날 일부 농민은 미 텍사스주 엘패소와 멕시코 시우다드 후아레스를 연결하는 국경 교량의 멕시코 측 통행을 차단하기도 했다.
이들은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정부에서 추진하는 일반수자원법 개정안을 철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멕시코 내무부는 밝혔다.
해당 개정안은 수자원 개발·사용 등에 대한 권리를 정부에서 엄격히 통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멕시코 국가수자원위원회(CONAGUA) 홈페이지 설명을 보면 멕시코에서는 수자원 관리 및 사용 과정에서 농민이나 토지 소유자 등의 자율성을 비교적 넓게 보장해 왔다.
요건을 갖췄을 경우 국가수자원위원회 승인을 바탕으로 관개 구역 내에서 농업이나 공공 공급 등 특정 목적을 위해 지표수·지하수를 개발·이용·양허할 수 있는 권한을 민간에 허용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최근 잦은 가뭄으로 정부의 수자원 관리 강화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접경 지역 리오그란데강(멕시코 명 브라보강)과 콜로라도강 물을 미국과 나눠 쓰는 조항의 미준수 사태로 '물 빚' 논란까지 커진 바 있다.
멕시코는 1944년 미국과의 협약에 따라 리오그란데강에서 4억3천만㎥가량의 물을 매년 미국에 보내야 한다. 반대로 미국은 콜로라도강에서 매년 약 19억㎥의 물을 멕시코로 보내기로 했다.
그러나 멕시코는 심각해진 물 부족 상황과 자동차·전자제품 생산 시설 증가에 따른 산업용수 수요 급증 등 때문에 최근 30년간 정해진 만큼의 물을 미국 쪽으로 공급하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정부 때에 이어 2기 정부 출범 이후 이를 문제 삼으며, 관세 부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멕시코 정부는 협상팀을 꾸려 미국과 논의를 이어가는 한편 국가수자원위원회 통제 권한을 확대하려 하는 상황이다.
농민들은 그러나 "정부가 물을 독점하고 허가권을 마음대로 다루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강경한 반발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물을 사적으로, 다른 용도로 상품화하는 특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시위하는 사람들이 있다"면서 "정부는 소통 채널을 유지하되 도발에 휘말리거나 탄압으로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멕시코 화물운송업자들도 고속도로 이동 과정에서의 안전 보장을 요구하며 도로 점거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도로에서 죽느니 일손을 놓는 게 낫다"면서 카르텔 폭력 행위를 막고 부패한 군·경의 갈취를 발본색원해 줄 것으로 바라고 있다고 현지 일간 레포르마는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