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李대통령, G20으로 올해 다자외교 사실상 마무리…튀르키예 향발

2025-11-23 (일) 02:00:47
크게 작게

▶ 3개 세션 참석해 포용성장·AI기본사회 강조…양자·MIKTA 회담도

▶ 취임 6개월만 다섯차례 다자외교 소화…귀국후 당분간 내치 집중할 듯

李대통령, G20으로 올해 다자외교 사실상 마무리…튀르키예 향발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3일(현지시간) 다음 국빈 방문지인 튀르키예로 가기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OR탐보 국제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이하 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마치고 이번 중동·아프라카 순방의 마지막 방문국인 튀르키예로 출국했다.

이 대통령은 이로써 지난 6월 취임 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유엔총회,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G20까지 이어진 숨 가쁜 올해 다자 정상외교 일정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1일 아랍에미리트(UAE)·이집트 방문을 마치고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 도착, G20 정상회의 회원국 자격으로 22∼23일 열린 3개 공식 세션에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첫 세션에서 국제적 포용 성장을 위한 3가지 해법을 제시했다. 개발도상국의 부채 취약성을 완화하고 다자무역체제 기능을 회복하며 개발 협력의 효과성을 향상해야 한다는 제안이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한국이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글로벌 인공지능(AI) 기본사회' 달성을 위해 국제 사회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프랑스·독일 정상과의 양자 회담, 인도·브라질 정상과의 양자 회동, 한국이 주도하는 중견 5개국 협의체인 믹타(MIKTA) 회동 등 틈틈이 별도 외교 일정도 소화했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방산·원자력 분야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 17일 출발한 7박 10일 간의 중동·아프리카 순방의 마지막 일정이다.

이 대통령은 이로써 올해의 주요 외교 일정을 사실상 마무리한다.

이 대통령은 취임 약 2주 만에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 참석했고 9∼10월엔 유엔총회와 아세안 정상회의를 위해 출국했다. 이후 APEC 정상회의를 의장국으로 개최한 뒤 이번 G20까지 연이어 일정을 소화했다.

한중일 3국이 정상회의를 조율 중이지만 연내 성사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비상계엄 등 혼란한 정국 탓에 외교적 불확실성이 야기됐으나 이 대통령의 연이은 다자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국이 국제사회에 성공적으로 복귀했다고 자평한다.

주요 외교 일정을 거의 마친 이 대통령은 귀국 후 당분간 사법을 비롯한 각종 경제·사회 분야 개혁과 AI 전환 대응, 관세 협상 후속 조치 등 국내 문제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