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중, 기싸움 벼랑끝 대치
▶ 중국 대두 수입 중단에 반발
▶ “중국 식용유 안 살 수도”
▶ ‘100% 관세’조기 부과 엄포
▶ “유럽 투자 때 기술이전 요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줄인 중국을 겨냥해 중국산 식용유를 구매하지 않을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미국 정부 관계자들도 11월1일로 예고된 100% 대중국 추가 관세 부과 시점을 앞당길 수 있고 합의가 불발될 것에 대비한 ‘플랜B’도 마련해놓았다며 협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양국이 기싸움을 넘어 벼랑 끝 대치를 벌이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이 의도적으로 미국의 대두를 사지 않고 우리 대두 농가들에 어려움을 주는 것은 경제적 적대 행위”라며 “중국의 식용유 및 다른 교역 품목과 관련된 사업 관계를 단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우리는 식용유를 손쉽게 생산할 수 있으며 중국으로부터 구입할 필요가 없다”고 자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식용유(cooking oil)는 실제로는 재생가능디젤(renewable diesel) 연료를 만드는 데 쓰이는 폐식용유(used cooking oil)를 지칭한다. 악시오스는 “미국이 식용유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는 캐나다, 인도네시아, 유럽연합(EU)으로, 중국에서는 상당 부분 폐식용유를 수입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에서는 조 바이든 전 행정부 때부터 재생가능디젤 생산을 장려하면서 폐식용유 수요가 빠르게 증가했고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증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유화 메시지를 내놓으며 대화의 문은 열어뒀다. 그는 백악관에서 “중국을 조심해야 한다”면서도 “미중 관계가 괜찮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과의 회담을 전담하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다른 모든 나라도 끌어내리고 싶어 한다”며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이 경기 침체나 불황의 한가운데에 있다”고 규정하며 세계경제도 동반해서 끌어내리려 한다고 비판했다.
FT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중국과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취할 대응책 초안을 갖고 있다”며 “미국은 이번 주 워싱턴DC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총회를 계기로 열리는 주요 7개국(G7) 회의에서 이 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룰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중국으로 소프트웨어를 수출하는 기업에 자격 취득을 요구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며 “이는 중국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미국이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매겨도 올 4월과 같은 시장 혼란은 촉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이 여러 나라들과 무역 합의를 체결했고 서구 및 아시아 민주주의 국가들과의 단합 측면에서 중국보다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지난 13일 워싱턴 DC에서 미중 고위급 실무 당국자 간 소통을 했다며 미중 갈등을 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14일 CNBC 인터뷰에서 말했다. 다만 그는 ‘11월1일 100% 관세가 부과되느냐’는 질문에 “그보다 빨라질 수 있다”며 “중국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압박했다.
미중 간 대화 움직임은 계속 감지되고 있다. 그리어 대표는 미중 정상이 APEC 기간에 만나기 위해 ‘예정해둔 시간’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측 소식통은 당초 중국이 베선트 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 간 회동을 APEC 이후 갖기를 희망했지만 최근에는 기조를 바꿔 미중 정상회담 전에 열기를 원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