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올해 깜짝 성장에도 내년부터 둔화
2025-09-25 (목) 12:00:00
▶ OECD, 관세부과 촉진효과
▶ 미, 올해 1.8%·내년 1.5%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앞서 산업 생산과 교역이 활발해진 덕분에 올해 세계 경제가 ‘깜짝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3일 발간한 중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석달 전 전망치인 2.9%보다 0.3%포인트(p) 높은 3.2%로 예측했다.
OECD는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성장세는 탄력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다수 신흥시장 경제에서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또 “미국 관세 인상 시행을 앞둔 상품 생산 및 무역의 선행적 증가가 주요 지지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주요 20개국(G20) 대부분 국가에서 상반기 산업 생산 증가율이 지난해 평균 속도를 상회했다”고 덧붙였다.
8월말 기준 미국의 전체 실효 관세율을 약 19.5%로 추정돼 1933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다만 내년 성장률은 미국의 관세 부과에 앞선 선제적 조달 효과가 소멸하고 높은 관세와 정책 불확실성이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올해보다 0.3%p 떨어진 2.9%로 예상됐다.
관세 전쟁을 촉발한 미국의 올해 GDP 성장률은 직전 전망보다 0.2%p 오른 1.8%로 상향 조정됐다. 다만 내년엔 1.5%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OECD는 첨단 기술 부문의 강력한 투자 증가가 올해 미국의 경제 활동을 부양하지만, 높은 관세율과 순이민 감소의 여파로 내년 경제 성장이 다소 둔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경우 최근의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석달 전과 같이 올해는 1.0%, 내년엔 2.2%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