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북중러 결속’ 직면 트럼프 외교…한미일 협력 강화로 대응하나

2025-09-03 (수) 10:13:22
크게 작게

▶ 친분과시해온 ‘스트롱맨’들 연대하고 인도는 멀어져…트럼프외교 딜레마

▶ ‘관세·제재 카드’ 만지작거리며 反서방연대 결속력약화 시도 가능성

‘북중러 결속’ 직면 트럼프 외교…한미일 협력 강화로 대응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로이터]

중국 전승절을 계기로 북한과 중국, 러시아의 연대 강화를 목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의 '반미(反美)·반서방' 결속에 어떤 대응 카드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대규모 열병식을 겸한 이번 전승절 기념식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집권 3기 최대 정치 이벤트로 꼽혔고, 시 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한 자국 우방국 정상급 20여명과 함께 반서방 연대를 과시하고 그 결속력을 굳건히 다지는 계기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주도로 짜여진 글로벌 체제를 자국 중심의 새로운 세계 질서로 재편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자리였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과 러시아 입장에서는 66년 만에 중국 지도자와 한 자리에 서면서 중국과 협력해 기존 미국 중심의 질서에 대항하고 도전하겠다는 메시지를 공개적으로 던진 것이라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전쟁과 거래 위주의 동맹관 표명, 대외 원조 삭감 등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시 주석은 기존 미국의 리더십이 빠져나간 '빈 공간'을 파고들려 하는 양상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이를 바라본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불편한 심기를 표출했다.

전승절 행사가 시작되고서 톈안문 망루의 시 주석 좌우 양 옆에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나란히 서 의기투합하는 모습을 확인한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비교적 장문의 글을 올렸다.

시 주석에게 보내는 메시지 형식의 이 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선 2차 세계대전에서 중국이 일본에 항복을 받아내기까지 "미국이 중국에 제공한 막대한 양의 지원과 '피'"를 거론하며 중국이 미국에 '큰 빚'을 지고 있다는 점을 부각했지만, 정작 중요한 메시지는 북중러 3국의 반미 연대 결속에 대한 반감을 드러낸 지점에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글 말미에 "당신들이 미국에 대항할 작당 모의를 하는 동안, 블라디미르 푸틴과 김정은에게 나의 가장 따뜻한 안부 인사를 전해달라"고 적었다.

이를 두고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화를 내며 격한 반응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그간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 김 위원장 등 권위주의 국가의 '스트롱맨'들과 친분을 과시하면서 이를 통해 미국 주도의 세계 질서를 굳건히 할 수 있다고 믿었지만, 그 결과가 자신에게 한데 뭉쳐 맞서는 모습으로 나타나면서 역설 화법으로 실망감과 함께 불편함을 표출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북중러를 필두로 한 반서방 연대의 규합 및 과시는 집권 2기 트럼프 대통령의 지나친 '미국 우선주의' 외교 정책의 역효과가 드러난 결과라는 비판적 분석을 외신들은 내놓고 있다.

동맹이나 적국을 가리지 않고 부과한 관세 정책으로 세계 무역 질서를 무너뜨린 신(新) 보호주의와 약소국에 대한 횡포, 유엔 등 국제기구 무시, 미국의 대외 원조프로그램 폐기 등을 통해 전 세계의 반감을 키우고 더는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국가가 아니라는 인식이 퍼지게 하면서 중국이 이번 전승절 행사에서 반미 연대의 중심에 설 수 있는 동력을 키웠다는 것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 종식 협상을 위한 양자 정상회담 성사를 압박하기 위해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인도를 향해 기존 25%에 '대러 2차 제재' 차원의 추가 25%를 더해 50%의 관세를 부과하자 인도가 중국에 밀착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 대표적이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이번 전승절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그 전날 중국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O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친밀함을 한껏 과시했다.

인도는 특히 미국이 최대 글로벌 패권 경쟁국인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만든 소다자 협의체 '쿼드'(Quad) 회원국인데도 미국의 자장에서 이탈해 중국에 다가가는 듯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해 세계 안보 전략의 초점을 유럽 및 중동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옮기고 있는 가운데 중국을 중심으로 한 반미·반서방 연대 및 결속력 과시뿐 아니라 인도의 이탈까지 더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외교 정책은 딜레마에 빠진 형국이다.

우선 우크라이나 전쟁을 조기에 매듭짓고 인태 지역으로 눈길을 돌리려 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참전을 통해 '혈맹'으로 관계가 발전한 북한뿐 아니라 중국까지 등에 업으면서 미국이 추진하는 종전 시나리오대로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의 전통적 동맹인 서유럽 국가들도 겉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종전 노력을 지지하면서도 러시아산 에너지 구매 전면 중단 등 대러 압박용 제재에는 동참하지 않으면서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꺼내 들 대응 카드에 관심이 모인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와 제재 카드를 통해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갈라치기'를 시도할지 주목된다.

중국에 대해 11월까지 관세 휴전을 연장해놓은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의회에서 발의된 강력한 대러 2차 제재 법안이라는 카드가 있다.

아직은 통과되지 않았지만, 다수당인 공화당의 협조를 등에 업고 이를 대러 및 대중 압박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은 중국이나 러시아, 북한의 관계가 오랜 기간 결속을 다져온 동맹이 아니라 그때그때 상황에 따른 편의주의적인 결합으로 보고 있고, 이러한 관세 및 제재 카드가 반미 결속의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어서다.

미국이 이번 반미 연대의 결속을 인태 지역에서 미국의 아시아 최대 동맹국인 한국, 일본과의 3자 협력을 더욱 강화할 이유로 삼을 가능성도 있다.

한국, 일본과는 이미 자칫 관계가 껄끄러워질 수도 있었던 관세 및 무역 협정을 큰 틀에서 합의한 만큼 한미일 안보 분야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면서 중국 견제 및 북중러 연대 대응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