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 CEO, 의혹 해명한 듯…사임 촉구하던 트럼프 태도 바뀌어

인텔 CEO 립부 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1일 중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미 반도체 기업 인텔의 립부 탄 최고경영자(CEO)와 면담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오늘 인텔의 립부 탄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함께 만났다"며 "매우 흥미로운 만남이었다"고 적었다.
이어 "그의 성공과 부상은 놀라운 이야기"라며 "탄씨와 내 내각 구성원들은 함께 시간을 보낼 예정이며, 다음 주에 나에게 제안을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연방 상원 톰 코튼(공화·아칸소) 정보위원장은 인텔 이사회에 서한을 보내 탄 CEO가 중국 공산당 및 군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반도체 기업과 연관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앞서 미 법무부는 지난달 28일 2015∼2021년 중국 국방과학기술대학을 대리하는 위장 업체들에 불법적으로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판매해 수출 통제를 위반한 혐의로 미 반도체 설계기업인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에 1억4천만 달러(약 2천억원)의 벌금을 부과했는데, 이 시기 이 회사의 CEO는 탄이었다.
탄 CEO는 또한 지난 2012년 3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최소 2억 달러(약 2천800억 원)를 중국의 첨단 제조 및 반도체 기업에 투자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트루스소셜 게시글에서 "이 문제에 다른 해법은 없다"며 탄 CEO의 즉각 사임을 요구한 바 있다.
이에 탄 CEO는 이날 백악관을 찾았으며, 그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가 어느 정도 누그러진 점으로 미뤄 탄 CEO는 어느 정도 해명과 설득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탄 CEO가 '제안'을 가져올 것이라고 언급한 만큼 향후 인텔의 대규모 투자 단행 등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력이 발표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말레이시아 태생 중국계 미국인인 탄은 지난 3월 경영난을 겪고 있는 인텔의 새 CEO로 임명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