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가 미국 공식언어’ 트럼프 행정명령 따라
연방 기관들이 미국내 이민자들을 위해 제공하고 있는 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 서비스를 대폭 축소하도록 하는 지침을 연방 법무부가 발표하면서 이에 대한 우려와 반발이 터져나오고 있는 가운데(본보 22일자 A1면 보도), 연방 국세청(IRS)도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영어를 공식언어로 지정한 행정명령을 준수하기 위해 국세청이 다국어로 제공하던 각종 세금 관련 서비스를 없애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세청은 현재 납세자들이 본인이 선택하는 언어로 세금 관련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무료 통화·대면 통역 서비스, 다국어 웹사이트, 스페인어 소셜미디어 계정 등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그동안 연방정부 차원에서 법적으로 공식 언어를 둔 적이 없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1일 “영어를 공식 언어로 확립하는 것은 소통을 원활하게 할 뿐 아니라 공유하는 국가 가치를 강화하고, 보다 응집력 있고 효율적인 사회를 만들 것”이라며 영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팸 본디 연방 법무장관은 지난 14일 각 연방 기관에 이 행정명령의 이행 지침을 보낸 상태다. 여기에는 불필요한 다국어 서비스를 단계 폐지하고 해당 예산을 영어 숙련도 향상을 위한 연구나 프로그램에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권고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대해 그레이스 멩 의장, 마크 타카노 부의장 등 연방하원 아태계 코커스 소속 연방 의원들은 어떤 언어를 사용하든지 연방 프로그램에 대한 완전하고 평등한 접근을 보장받아야 하는데, 트럼프 정부는 ‘국가 통합’이라는 명분 아래 수백만 이민자들과 영어에 미숙한 이들을 위해 제공되던 다국어 서비스를 박탈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