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8월 1일 관세 강행” 트럼프 위협 불구 시장 평온한 이유는

2025-07-24 (목) 08:06:12
크게 작게

▶ 백악관 “타코는 헛소리…각국·기업, 충격 흡수하기 위해 적응 중”

▶ 월스트리트 중론은 “결국은 이번에도 또 부과 연기할 것”

미국과 무역협상을 타결하지 않는 교역 상대국들에게 8월 1일부터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금융시장이 평온한 이유에 대해 백악관과 월스트리트의 분석이 엇갈리고 있다고 CNN방송이 24일 보도했다.

CNN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지금까지 무역협상 합의를 한 교역 상대국은 영국,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 6개국뿐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유럽연합(EU), 인도 등 나머지 나라들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고율의 '상호관세'를 물리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실제로 이런 방침을 강행한다면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이 일고 보복조치를 불러일으키면서 국제 무역이 경색되고 물가가 상승하고 금융시장 전반에 충격파가 퍼져나갈 우려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4월에 고율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을 때는 미국 국채와 주식 시장에 큰 혼란이 발생했으며, 부담을 느낀 트럼프 행정부는 며칠 후 시행을 연기했다.

그 후로도 관세 부과 강행 방침 발표와 연기 발표가 번갈아 이어지는 패턴이 반복되면서 월스트리트에서는 '타코'(TACO)라는 말이 유행했다.

"트럼프는 항상 겁먹고 물러선다"(Trump always chickens out)는 뜻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정한 관세 부과 시점이 1주 남짓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23일 S&P 500과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로 마감하는 등 미국 시장이 활황인 데에는 고율 관세 부과를 실제로 강행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장의 전망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가 8월 1일 시한까지 EU 등 주요 교역 파트너들과 무역 합의를 완료하든지 혹은 시한을 또 연장해서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는 견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은 시장이 안정된 이유가 '타코' 때문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효과를 발휘해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한 백악관 관계자는 CNN에 "(시장 안정은) 타코 같은 헛소리 때문이 절대 아니다"라며 "(미국 국내외 기업들과 교역 상대국들은) 미합중국 대통령이 이 문제에 관해 진지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관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과 공급망에 조정을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악관 공보담당 직원인 쿠시 데사이는 CNN에 보낸 입장문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해온 관세의 효과가 올바른 것으로 드러났다며 "불황과 물가상승이 올 것이라는 비관적 관측"은 실현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 당시에 통상 담당 공무원을 지냈으며 지금은 투자은행 에버코어 ISI에서 고위 임원으로 일하고 있는 새라 비앙키는 이와 상반되는 견해를 내놨다.

그는 "그들(기업들과 투자자들)은 그(트럼프)가 (관세 부과 강행에) 진지하다고 믿지 않는다"며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고율 상호관세 부과 위협을 진짜로 실행하려고 든다면 시장에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