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국제문제 선임고문인 알리 아크바르 벨라야티가 14일 미국과 핵협상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협상이 이란의 우라늄 농축 권리를 존중하는 조건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국영 뉴스통신 IRNA가 보도했다.
벨라야티 선임고문은 이날 테헤란에서 모신 나크비 파키스탄 내무장관과 회담 중 "전제 조건 없이 진행되고 이란의 레드라인을 존중하는 (미국과) 협상에 대해 우리는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포기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이는 우리의 레드라인 중 하나"라며 만약 협상이 농축 중단을 조건으로 한다면 그런 협상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벨라야티 선임고문의 이 발언은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미국과의 회담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고 밝힌 뒤 나왔다.
바가이 대변인은 이날 정례 회견에서 미국의 스티븐 위트코프 중동특사와 이란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의 회담 계획에 대해 "현재 이 문제와 관련해 구체적인 날짜와 시간, 장소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위트코프 특사와 아락치 장관은 이란 핵 프로그램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오만의 중재로 5차례 간접 협상을 했으나 이스라엘이 이란 기습 공격으로 12일 전쟁을 촉발하며 협상은 중단됐다.
미국의 중재로 지난달 24일 휴전이 발효된 이후 위트코프 특사와 아락치 장관은 핵협상 재개를 논의하기 위해 물밑 대화를 이어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재임 때인 2015년 체결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는 이란의 핵연료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 농도를 제한했지만 농축을 원천 봉쇄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2018년 트럼프 1기 정부는 이런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복원했고, 트럼프 2기 정부는 우라늄 농축 중단을 요구하며 지난달 이란의 핵시설을 전격 공습하기에 이르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