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감자꽃 같은 것이 가득한 밭이었다. 초록 잎도 풍성하게 흰 꽃과 어우러져 아름다웠다. 잠을 깨고 보니 꿈속에서 본 풍경은 한 폭의 수채화처럼 선명했다. 그 밭 옆에서 엄마와 나는 손을 잡고 하염 없이 밭을 바라보고 있었다. 우린 언덕 위였고 서로 말은 없었지만 풍경은 평화로웠다. 엄마는 젊은 시절 곱게 단장한 머리에 좋아했던 보라색의 원피스 같은 걸 입고 있었다.
새벽 5시반, 잠을 깨, 커피 한잔을 놓고 컴퓨터 앞에 앉자 지난 밤 꿈이 너무 선명했다. 엄마가 천상으로 떠나신지 1년 반이 지나가고 있는데, 꿈에 만난 것은 처음이다. 꿈 속에서 엄마의 모습이 너무나 평온했고, 풍경도 아름다웠기에 마음은 가벼웠다. 너무도 그리웠던 엄마였기에, 이렇게 모습을 보니 안도감이 생기는 것은 숨길 수 없는 사실이다. 천상에서도 잘 계시는구나, 하는…
주일 미사를 다녀 온 오후. 우리집에서는 남편 고등학교 동창들의 모임이 있었다. 전날, 청소에, 요리에 바빴지만 반가운 얼굴들을 만나는 시간이 기대 된다. 와이프들은 대광(大光)고등학교에서 따온 ‘대강여고’ 단톡방을 만들고, 우리끼리 사연을 올리며 낄낄거리기도 하고, 음식을 준비할 때면 무엇을 할 건지 올리기도 하고, 안부를 전하기도 한다. 어쩌면 남편 고등학교 동창보다 더 가까운 우리들.
2시반, 브롱코스의 게임이 시작되었다. 아래층에 모인 남편들. ‘그래, 그래’가 들리고 점수가 괜찮은 모양. 하프 타임이 시작되자 남편은 고기를 굽고 저녁 식사 준비를 한다. 이어지는 함성들.
4쿼터. 게임은 완전히 우리팀, 브롱코스(Denver, Broncos)의 승리로 기울었고 그제야 남편들은 이층으로 올라오며 저녁 식사를 하잖다. 나름대로 게임을 리뷰하며 선수의 특성과 올해의 신생 쿼터백 보 닉스(Bo Nix)와 감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승리팀의 선수인 것처럼 즐겁게 식사를 한다. 이어 대광고등학교와 대강여고의 합동회의. 모교의 소식을 전하고, 다음 해의 모임 시간과 장소를 정한다.
마지막으로 내 책 <오롯한 나의 바다>에 관한 미니 북 토크. 오롯히 엄마와의 관계만을 썼다고, 이렇게 한권의 졸저를 냄으로 인생의 숙제에서 참으로 힘들었던 부분에 한 매듭을 지을 수 있었다고. 지난 책 2권은 중환자실 이야기들이었고, 이번엔 엄마. 이제 좀 편안하게 글을 쓰고 싶고. 편한 인생 후반기의 이야기들 엮어볼까 한다고. 북토크가 끝나고 동창들은 책을 몇 권씩 구매해주었다. 20여년 콜로라도에서 만난 우리들. 참 고맙고 좋은 인연이다.
손님들이 돌아가고, 아침 꿈생각이 났다. 당신의 이야기인, 책이야기를, 한다는 것을 미리 알려 주려 오셨음일까? 꿈에서 만난 평온, 그림 같은 풍경을 가슴에 안고, 좋은 인연을 기억하며 깊은 잠을 청한다.
<
전지은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