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한미군 철수 강력 반대하고 한미 FTA 체결 지지…지한파 의원모임 창설
▶ 한일 과거사 문제 해결 위해서도 목소리…아베 前총리에 과거사 사과 촉구

고(故) 랭글 전 의원의 2010년 11월 모습 [로이터]
한국전쟁 참전용사 출신으로 미국의 대표적 지한파 정치인이었던 찰스 랭글 전 연방 하원의원이 미국의 현충일(메모리얼데이)인 26일 별세했다.
랭글 전 의원의 수석보좌관을 지낸 해나 김 전(前) 미 보건복지부 부차관보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랭글 전 의원이 이날 오전 뉴욕에서 타계했다고 전했다. 향년 94세.
뉴욕 맨해튼의 할렘에서 태어난 고인은 1970년 뉴욕에서 연방 하원의원(민주)으로 당선된 이래 2017년 1월 은퇴할 때까지 46년간 의사당을 지키며 민주당의 대표적인 거물급 흑인 정치인으로 자리했다.
하원 세입위원회 위원장(2007∼2010년)까지 지낸 23선의 중진이었던 그의 의정활동은 전쟁의 포화 속에 맺은 한국과의 인연, 그리고 한국에 대한 애정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다.
한국전쟁 개전 초기 미 2보병사단 503연대 소속으로 참전해 중국군 공격에 부상까지 당했던 고인은 한국전쟁에서의 공훈으로 퍼플하트와 동성 무공훈장을 받았고, 2007년 한국 정부로부터 수교훈장 광화장을 받았다.
고인은 미국 내에서 '잊힌 전쟁'으로 불리는 한국전쟁의 의미를 되살리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지난 1977년 같은 민주당 소속이었던 지미 카터 당시 대통령의 주한미군 철수 계획에 강력히 반대하기도 했다.
미국 의회에서 '한반도 평화·통일 공동 결의안'(2013년), '이산가족 상봉 촉구 결의안'(2014년), '한국전쟁 종전 결의안'(2015년) 등을 발의했고, 자유무역협정(FTA)에 대체로 비판적인 민주당 소속 의원이었음에도 한미 FTA를 앞장서서 지지해 체결에 기여했다.
지난 2003년 지한파 의원 모임인 코리아코커스 창설을 주도하며 초대 의장을 지냈다.
한일 과거사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냈다.
2014년 6월 당시 일본 아베 신조 내각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반성을 담은 고노 담화 검증 작업에 나섰을 때 그것이 부적절하다고 지적하는 서한을 일본 정부에 보내는 데 동참했다.
그 이듬해 아베 당시 일본 총리가 미국을 방문했을 때 의회 연설에서 과거사를 사과해야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발표하는 데도 동참했다.
2010년 정치자금 모금 규정 등 윤리규정 위반 건으로 하원에서 징계 결의가 채택되는 등 한때 정치적 고비를 맞았지만, 그해 가을 재선에 성공하며 위기를 돌파했다.
고인은 2021년 백선엽 한미동맹상을 수상하면서 "(한국전쟁 때) 부상을 입고 한반도를 떠났을 때는 악몽과도 같았고,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을 것 같았기에 한국이 전쟁의 폐허를 딛고 미국의 7번째 교역 파트너이자 국제적 거인으로 부상한 것이 너무나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국은 항상 내 마음속에 한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며 "남북 간 평화를 촉진하면서 우리 두 나라(한미)가 더 가까워지고, 내 평생에 분단된 한반도가 통일되길 소망한다"고 했지만, 통일을 보지 못한 채 눈을 감았다.
고인의 의정생활 후반기에 수석 보좌관을 맡았던 해나 김 전 부차관보는 고인에 대해 "한국전쟁에서 목숨을 걸고 싸운 영웅이었고, 이후 의회에서는 한미관계 강화를 위해 헌신한 진정한 투사였다"고 회고했다.
한국계인 김 전 부차관보는 "한국과 한국민에 대한 랭글 의원의 진정한 사랑을 목도한 것이 영광이었다"며 "개인적으로 그는 내게 아버지 같았고 많은 한국 사람에게도 아버지 같은 존재였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