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보합권 혼조로 마감했다.
공화당의 감세안이 의회 하원을 통과하면서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다. 이에 미국 국채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주가지수도 반등했으나 장 막판 오름폭을 대부분 반납하며 혼조로 장을 마쳤다.
22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5포인트(0.00%) 내린 41,859.09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0포인트(0.04%) 떨어진 5,842.01, 나스닥종합지수는 53.09포인트(0.28%) 오른 18,925.73에 장을 마쳤다.
이날 주가지수는 국채시장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분위기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감세 법안이 이날 미국 연방 하원 본회의를 통과했다.
감세안은 개인 소득세율과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세액공제 확대 등의 기한 연장을 담고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7년 도입됐던 조치를 연장하는 게 골자다.
이 법안은 미국 정부에 상당한 재정 부담을 더 얹을 수 있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이 법안이 상원에서 최종 확정되면 연방 재정적자가 향후 10년간 3조8천억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감세안 통과를 선반영한 채권시장은 하원 통과를 불확실성 해소 기회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저가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국채금리는 이날 낙폭을 확대했다. 달러인덱스도 장 중 100선을 되찾는 등 강달러 흐름을 보였다.
주가지수는 이런 분위기에 반등으로 보조를 맞췄다. 전날 20년물 국채 입찰 결과의 충격으로 '셀 USA'가 촉발된 만큼 일부 반발 매매가 나타난 셈이다.
다만 장 마감 30분 전부터 주가지수는 갑자기 상승분을 대부분 토해냈다. 1% 상승하던 나스닥 지수는 강보합권으로 내려왔고 S&P500 지수와 다우지수는 0.5% 상승에서 하락 전환했다.
이를 촉발한 재료는 확인되지 않는 가운데 불확실성을 감안한 차익 실현 매도세로 해석된다.
아젠트캐피털매니지먼트의 제드 엘러브룩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단기적으로 감세안은 내년 경제 성장률을 높이고 국방비 지출을 늘리는 효과도 있어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 이번 조치가 (재정) 적자를 늘리고 시장에도 나쁜 소식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컴리서치앤드매니지먼트의 스콧 파이크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국채금리가 정점에 도달했다고 말할 수 없다"며 "다만 매수자들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하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와 기술, 통신서비스는 강세를 보였다. 유틸리티는 1.4% 하락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애플을 제외하고 모두 올랐다.
이날도 하락한 애플은 엔비디아에 시가총액 2위 자리를 내준 후 좀처럼 재역전을 못 하고 있다.
구글은 전날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한 구글 글라스 등 최신 제품과 서비스를 공개한 뒤 기대감이 유지되며 이날도 1% 이상 올랐다.
공화당의 감세안이 통과되면서 주요 태양광 관련주들이 일제히 급락했다. 선런의 주가는 전일 대비 37%, 솔라엣지는 25%, 퍼스트솔라는 4% 하락했다.
반면 어드밴스오토파츠는 1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주가가 57% 급등했다.
미국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분석회사 스노플레이크는 1분기 호실적에 주가가 13% 뛰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이날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관세가 10% 수준에 머물 경우 하반기 금리인하가 가능하다고 시사했다.
월러는 "관세를 10% 가깝게 낮추고 7월까지 모든 것이 확정, 완료돼 이행된다면 하반기에 좋은 상황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연준은 하반기에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경제는 5월 들어 서비스업과 제조업 모두 업황이 확장됐다. 다만 관세 여파로 물가 압력이 커졌고 고용은 줄고 가격은 팬데믹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은 5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가 52.3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2개월래 최고치다.
5월 제조업 PMI 예비치도 52.3으로 전월치 50.2를 상회하며 2022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 대비 감소하면서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5월 17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22만7천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주 대비 2천건 줄어든 것이다. 시장 예상치는 23만명이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7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73.1%로 반영됐다. 전날 마감 무렵보다 소폭 올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59포인트(2.83%) 밀린 20.28을 가리켰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