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유엔 안보리서 납북된 부친 사진 꺼내든 딸

2025-05-16 (금) 12:00:00
크게 작게

▶ 한국전 납북자 문제 조명

▶ “여전히 진행 중인 범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5일 전쟁 또는 무력분쟁 과정에서 발생한 실종자 문제를 다루면서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 끌려간 납북자 문제를 조명했다.

이날 브리퍼로 참석한 이성의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은 납북자 문제와 관련해 안보리 이사국들을 향해 북한에 책임을 묻는 실질적인 조치를 적극적으로 모색해 달라고 촉구했다.

유엔본부에 따르면 안보리는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무력분쟁 시 민간인 보호’를 의제로 브리핑 공식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무력분쟁 도중 실종된 이들 문제를 다루는 안보리의 2019년 결의(제2474호)의 이행을 점검하기 위해 미국, 영국, 프랑스의 소집 요청으로 열렸다.

이날 회의 브리퍼로는 시민사회를 대표해 이성의 이사장과 2023년 10월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당시 실종된 이스라엘군(IDF) 소속 군인 이타이 첸의 부친이 참석했다. 미·이스라엘 이중국적자인 이타이 첸은 현재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시신을 돌려받지 못한 상태다.

이 이사장은 안보리 발언에서 “우리와 같은 생존 증인들을 포함한 모든 명백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자신들의 납치 범죄를 인정한 적이 없다”며 “이것은 진행 중인 범죄이며, (북한에 의한) 강제실종의 첫 번째이자 가장 규모가 큰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이 사건이 발생 당시에 제대로 해결됐다면 일본, 태국, 루마니아와 같은 다른 많은 국가에서 발생한 후속 납치 범죄들은 방지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이것이 한국전쟁 납북자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 이사장은 “북한이 납북자들의 생사를 확인하고 그들이 이미 사망했다면 시신이라도 송환하도록 해달라”며 “또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북한에 책임을 묻는 실질적인 조치를 적극적으로 모색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 이사장은 발언 도중 1940년대 검사로 재직했던 부친의 법복 입은 사진을 꺼내들어 보이기도 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