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정부 관계자 인용 보도…방위예산·주일미군 주둔 경비 증액 요구 가능성
▶ 이시바 “쉬운 협의 아냐…적절한 시기에 미국 방문해 트럼프와 직접 회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6일 워싱턴DC에서 개최된 미일 간 첫 관세 협상과 관련해 일본의 방위비 부담 확대를 언급했다고 교도통신이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도 "각료급 협의에서 일본 측이 관세 인하와 철폐를 요구했고, 미국 측으로부터는 안전보장 관련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이날 미국과 협상을 마친 직후 '환율과 안보 문제는 의제로 다뤄졌는가'라는 질문에 "환율은 나오지 않았다"면서도 안보 문제 논의 여부에 대해서는 확답하지 않았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17일(현지시간) 총리 관저에서 '방위비(방위 예산) 등이 논의됐는가'라는 기자 질문에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을 삼가겠다. 교섭이기 때문이다"라며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일 관세 협상에 앞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 계정에 올린 글에서 "일본은 오늘 관세, 군사지원 비용, 그리고 '무역 공정성'을 협상하기 위해 (미국에) 온다"며 방위비 문제가 의제로 다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미국이 일본을 방어하기 위해 수천억 달러를 쓰고 있지만 일본은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는다며 미일 안보조약이 불공평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기존 발언을 종합하면 미국은 일본산 제품에 대한 관세 하향 조정에 대가로 방위비 증액이나 주일미군 주둔 경비 부담 확대 등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방위 관련 예산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1.8%이지만, 미국에서는 GDP의 3%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양국의 주일미군 주둔 경비 관련 협정은 2027년 3월 종료될 예정이어서 향후 재협상이 불가피하다.
이번 협상은 내주 개최되는 한미 관세 협상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평가됐다는 점에서 미국이 한국에도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둔비용 중 한국의 부담액) 증액 등을 요구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미일 관세 협상 직후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으로부터 결과를 보고받았다면서 "앞으로도 쉬운 협의가 되지는 않겠지만, 다음으로 이어가는 협의가 됐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는 "각료급 협의 추이를 보면서 가장 적절한 시기에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회담하는 것을 당연히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일 양국은 이번 협상에서 조기 합의를 통한 양국 정상의 결과 발표, 이달 내 추가 협의 개최 조율, 각료급 협의와 실무급 협의 병행 등에 합의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