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값도 이자도 ‘고공행진’
▶ 평균 2,807달러·사상최고
▶ 금리 6%대·가격 3% 상승
▶ 금리 인하 전망 ‘불투명’
주택 소유주들이 부담해야 하는 월별 모기지 평균 페이먼트가 2,80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주택 가격이 여전히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데다 모기지 금리가 6%대 중반 이상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6일 부동산 정보업체 레드핀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로 끝나는 4주 간의 기간동안 전국 평균 월 주택 모기지 페이먼트는 2,807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5.3% 상승했다. 이는 연간 주택 가격 상승률이 3%에 달하고 6.6%에 달하는 30년 만기 평균 모기지 금리 등의 요인이 맞물린 데 따른 것이다. 6% 중반대의 금리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모기지 금리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다만 30년 만기 평균 모기지 금리는 지난 1월 7.04%로 8개월 만에 고점을 터치한 후 하락세를 보였다. 최근 금리가 소폭 하락하지 않았다면 집주인들이 부담해야 할 모기지 페이먼트 부담은 현재보다 더욱 높은 수준을 유지했을 것이란 설명이다.
모기지 업체 프레디맥에 따르면 30년 만기 평균 모기지 금리는 6.64%로 전주보다 0.01%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1년 전보다 0.18%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지난 1년간 평균 모기지 금리는 6.74%에 달했다. 모기지를 재융자하는 주택 소유자들에게 인기가 있는 15년 만기 평균 모기지 금리는 5.89%로 전주보다 0.0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1년 전보다 0.22%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특히 높은 주택 비용은 예비 주택 구매자의 최대 부담요인이다. 레드핀에 따르면 전국 주택 평균 가격은 42만4,810달러로 1년 전보다 3.1% 상승했다. 전국에서 매매 대기 중인 주택은 지난해보다 4.6% 감소했으며, 이는 최근 몇 달간의 감소 추세와 일치한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주택 평균 가격은 78만4,840달러로 같은 기간 3.0% 올랐다.
다만 부동산 에이전트들에 따르면 본격적인 봄 시즌에 돌입하면서 일부 주택 구매자들이 시장에 다시 진입하고 있으며 오픈 하우스와 모기지 신청이 증가하는 등 시장이 꿈틀거리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지난 3월 5일 기준 모기지 신청 건수는 전주 대비 무려 20.4% 증가했다. 봄 시즌을 맞이해 거래시장이 다시 활발해지는 것을 기대볼만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주택 판매자가 늘며 새로운 매물이 1년 전보다 7.5% 증가했으며,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증가폭이었다. 구글에서의 ‘매물 검색’ 역시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많은 검색량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여전히 높은 모기지 페이먼트 부담에도 불구하고 일부 구매자들이 거래에서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 내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레드핀 프리미어 에이전트인 킴벌리 프로이텔은 “주택 잠재 구매자들은 경기 침체와 해고에 대한 우려 때문에 주택 매입에 적극적이지 않고 올해 말까지 금리가 내려갈 수 있을지도 궁금해 한다”며 “하지만 다른 주택 구매자들도 조심스러워하는 것은 동일하다”며 적극적으로 매수 오퍼를 넣는 일부 구매자들이 매물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주택을 사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그러면서 “만약 최소한 4~5년 동안 거주할 계획이 있는 집을 찾았다면 리스트 가격보다 다소 낮은 가격을 제시하더라도 자신이 부담할 수 있는 금액으로 제안을 하라”고 조언했다.
<
박홍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