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만료’ 아프리카성장기회법 사실상 무효화”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가 4일(현지시간) 미국의 30% 상호관세 부과에 보복 관세로 대응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파크스 타우 남아공 통상산업경제부 장관은 이날 로널드 라몰라 국제관계협력부(외무부) 장관과 함께 연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어떻게 상호관세율에 도달했는지 먼저 이해하지 않고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건 비생산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보복 관세 대신 관세 면제와 비관세 쿼터제 협상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아공 대통령실은 앞선 전날 성명에서 "일방적으로 부과된 징벌적 관세는 무역과 공동 번영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표명한다"며 미국과 새 무역 협정을 위한 협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라몰라 외무장관은 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아프리카 국가들이 미국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에 따라 누렸던 혜택이 사실상 무효가 됐다고 지적했다.
2000년 제정된 AGOA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할 때 일부 상품에 대해 관세와 쿼터를 면제하는 법률로 오는 9월 재연장 여부가 결정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이 법의 재연장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로이터통신은 짚었다.
또 미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부과하는 25% 관세가 전날 발효함에 따라 연간 20억 달러(약 2조9천159억원) 이상의 차량과 자동차 부품을 미국에 수출하는 남아공의 타격이 클 전망이라고 통신은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