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트럼프·마크롱 “종전시 우크라에 유럽평화유지군 배치” 공감대

2025-02-24 (월) 10:45:46
크게 작게

▶ 백악관서 美佛정상회담…트럼프, 종전협상 개시 후 서유럽 정상 처음 만나

▶ 트럼프 “젤렌스키, 금주나 내주 美 방문…광물협정 최종 합의 접근”
▶마크롱 “우크라에 안전보장 제공 준비돼 있어…확실한 억지력 제공해야”

트럼프·마크롱 “종전시 우크라에 유럽평화유지군 배치” 공감대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왼쪽)과 트럼프 대통령(오른쪽)[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4일 우크라이나전쟁 종전 방안의 핵심으로 부상한 전후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과 관련해 유럽국가들의 평화유지군 배치 방안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오벌오피스)에서 회담을 시작하기 앞서 "우리의 공동 목표는 우크라이나에 견고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안전 보장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특히 "우리는 평화가 존중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며 "(병력 배치는) 최전선이 아니라 평화 협정을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보장하기 위해 "강력한" 미국의 개입을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의 평화유지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고 본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이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3차대전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조기 종전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우리가 현명하다면, 수주 안에 전쟁이 끝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불가를 공개적으로 천명한 이후에 협상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경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재침공을 막을 안전보장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중대 쟁점으로 부상했다.

일단 미국과 유럽 주요국인 프랑스가 유럽 주도의 평화유지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는 데 뜻을 같이 함에 따라 러시아의 반응이 주목된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의 '광물 협정' 체결과 관련해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날 예정"이라며 "젤렌스키 대통령이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이번 주 혹은 다음 주에 (미국에) 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희토류 등 자원에 대한 미국의 지분 획득 등을 위한 "최종 합의에 가까이 와 있다"면서 "우크라이나 의회의 승인이 필요할 것이나 나는 성사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선 "적절한 시기에 모스크바를 방문할 용의가 있다"면서도 5월 9일 러시아 전승절에 맞춰 방문하는 것에 대해선 "조금 이른 것 같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러시아와 경제 발전 협력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도 "나는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과,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이뤄질 주요 경제 개발 거래에 대해 심각한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대화는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고 적은 바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유럽이 더이상 러시아의 침략에 직면하지 않으려면 "확실한 억지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유럽은 더 강력한 파트너가 될 준비가 돼 있으며, 국방 측면에서 더 많은 일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는 나토 유럽 회원국들의 국방비 지출 확대를 시사한 것으로 외신들은 평가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아울러 우크라이나가 종전 협상 회담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2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를 계기로 종전협상 중재에 착수한 이후 러시아에 힘을 실어주는 듯한 그의 언행에 유럽 주요국들의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과 마크롱 대통령은 회담후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날 논의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