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스크 이메일에 답변않으면 그런 사람이 없을 가능성 매우 커”
▶ 트럼프 정부 내서도 논란·혼란에 인사처 “보고 안한다고 사직은 아냐” 진화

일론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4일 이른바 '최근 업무 성과 보고 안 하면 해고' 이메일로 비판을 받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신임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진행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정부효율부를 이끄는 머스크가 최근 이메일로 업무 성과 보고를 보고하라고 이메일을 보낸 것에 대해 "천재적", "창의적 아이디어"라고 칭찬했다.
그는 "(정부에) 출근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고 그들이 정부를 위해 일하는지 아무도 모른다"라면서 "'지난주에 무엇을 했느냐'는 질문은 실제로 일을 하느냐고 묻는 것이다. 만약 답변하지 않는다면 해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메일에) 답변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거나, 일하지 않고 있는 것일 가능성이 매우 있다"면서 "우리는 지금까지 수천억달러의 사기를 발견했으며 이제 시작"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안보 부처의 수장이 머스크 이메일에 답변하지 말라고 한 것에 대해 우려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면서 "국무부나 연방수사국(FBI)과 같이 기밀 사안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그런 일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이 그들이 머스크와 싸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머스크는 22일 인사관리처(OPM)를 통해 230만여명의 연방 공무원 전체에 보낸 '지난주에 무엇을 했습니까'라는 제목의 이메일에서 지난주에 한 일을 5개로 요약 정리해서 이날 밤 11시 59분까지 답변할 것을 지시했다.
그는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사임하는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입장도 같이 밝혔다.
그러나 연방수사국(FBI), 국가정보국(DNI), 국방부, 국무부 등은 직원들에게 답변하지 말거나 일단 보류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트럼프 정부 내부에서도 논란이 됐다.
이와 관련, OPM은 이날 기존 방침에서 한발 물러났다.
OPM은 "오늘 회의에서 각 기관에 OPM에 이메일을 답신하는 것은 자발적인 것이라고 통지했다"라면서 "이메일에 응답하지 않는 것이 사직과 동일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고 의회 전문매체 더힐 등이 보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