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원팀으로 진출전략 짜야… 현지화·규제대응이 관건”
2025-01-15 (수) 12:00:00
박지수 기자
▶ 해외진출 전략가 3인 제언
▶ 시장·규제 등 철저한 조사 필요
▶ 인도 진출 이끈 일본 벤치마킹
▶ CEO 파견·현지채용 득실 따져야
“한국 금융 산업이 해외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려면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이 동반돼야 합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근무 경험이 있는 해외 시장 진출 전략가 3인은 서울경제신문과 PwC 스트래티지앤이 공동으로 진행한 심층 인터뷰에서 이같이 입을 모았다. HSBC·미즈호·알리안츠 같은 세계적인 금융사에서 해외 사업을 이끈 C레벨 출신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인 만큼 무게가 실린다.
미즈호은행 글로벌 사업 총괄임원 출신 전문가는 일본 정부와 금융사의 협력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도 벤치마크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일본 3대 은행 모두 일본 정부에 인도 내 은행 지점 개설 규제 완화를 요청했고 일본 정부는 인도 당국과 협상을 진행했다”며 “인도 정부는 지점 개설에 대한 규제를 완화했고 일본의 주요 은행은 인도에 성공적으로 지점을 추가 설립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미얀마의 경우도 기존 규제에 따르면 한 국가당 하나의 은행만 지점을 개설할 수 있었지만 일본 정부가 직접 나서 일본의 3대 은행 모두 미얀마에 지점을 열 수 있었다.
각국의 금융 당국과 협력해 현지의 규제에 대해 빈틈없이 대비해야 한다고도 주문했다. 금융사가 해외에 진출할 때는 자국 금융 규제는 물론 현지 규제도 모두 준수해야 한다. 특히 동남아 국가들은 이제 막 금융 산업이 성장을 시작하는 단계여서 규제를 문서화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HSBC 아시아태평양 지역 본부장을 역임한 전문가는 “과거에 다른 기업들이 현지 금융 당국의 규제 때문에 겪었던 어려움을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며 “규제가 심한 시장에서는 한 번만 실수해도 라이선스 취득이 어려워질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시장 진출 전에 현지 전문가나 변호사를 통해 규제 동향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반드시 선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박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