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탄핵반대” 입장서 선회
▶ 민주, 표결 앞두고 가결 총력전

표결 하루 전날인 6일 오후(한국시간)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앞 촛불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고 있다. <로이터>
국힘, 탄핵반대 당론 유지
국민의 힘 한동훈 대표가 표결을 허루 앞둔 6일(이하 한국시간) 사실상 탄핵에 찬성하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한 탄핵소추 정국이 급박하게 요동쳤다.
전날까지만 해도 탄핵소추안 가결의 열쇠를 쥔 국민의힘이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정하면서 부결에 무게가 실렸지만, 한 대표는 이날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새로이 드러나고 있는 사실 등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직무집행정지 방법에는 자진사퇴 또는 탄핵이 거론되는데, 현재까지 윤 대통령에 자진사퇴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는 점을 고려하면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의 가결 필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대표는 전날까지만 해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 대표의 전격적인 입장 선회는 윤 대통령이 계엄 당시 주요 정치인들을 체포하려고 했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이 지난 계엄령 선포 당시 자신의 충암고 후배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주요 정치인들을 체포하도록 지시했고, 윤 대통령이 이를 위해 정보기관을 동원했다며 “신뢰할만한 근거를 통해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한 대표는 최고위 직후 한남동 관저에서 윤 대통령과 회동을 가진 뒤 참석한 의원총회에서도 “제 판단을 뒤집을 만한 말은 듣지 못했다”며 윤 대통령의 직무 집행 정지가 필요하다는 자신의 입장을 재차 설명했다.
한 대표가 이 같은 입장을 천명하면서 친한(친한동훈)계를 중심으로 여당 의원들의 탄핵 찬성 움직임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탄핵안이 가결되려면 재적의원의 3분의 2(200명)가 찬성해야 한다. 범야권 192명이 전원 찬성표를 던지더라도 여당인 국민의힘에서 8명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이 때문에 현재 20여명으로 추산되는 친한계를 중심으로 얼마만큼의 찬성표가 나오느냐가 탄핵안 가결 여부를 가른다.
친한계인 6선 조경태 의원은 한 대표의 입장 발표 직후 여당 의원 중 처음으로 탄핵에 공개적으로 찬성했다. 4선 안철수 의원은 윤 대통령이 표결 전까지 퇴진 계획을 밝히지 않는다면 탄핵에 찬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친윤(친윤석열)계의 반발로 결국 ‘탄핵 소추 반대’라는 당론은 유지됐다. 이날 국민의힘 의총은 한 대표가 ‘윤 대통령의 직무 집행 정지가 필요하다’며 사실상 탄핵 찬성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을 두고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긴급 소집됐다.
이같은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의 이탈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탄핵 가결을 위한 총력전을 펼쳤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