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美남동부에 시속 130마일 돌풍 허리케인…침수·정전피해 속출

2024-09-26 (목)
크게 작게

▶ 위력 강해져 4등급 격상…플로리다 등 35만가구 정전, 공항·도로폐쇄

▶ 조지아·캐롤라이나·버지니아주까지 비상사태 선포 확대

美남동부에 시속 130마일 돌풍 허리케인…침수·정전피해 속출

26일(현지시간) 플로리다 해안[로이터]

미국 남동부에 강력한 허리케인이 덮치면서 플로리다 해안 지역 곳곳이 침수되고 전신주가 쓰러져 수십만 가구가 정전되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

26일 국립허리케인센터(NHC)에 따르면 플로리다주 북서부 해안에 근접 중인 허리케인 '헐린'(Helene)의 위력이 더욱 강해져 이날 오후 6시 20분(미 동부시간) 경보에서 5개 등급 가운데 두 번째로 강한 4등급으로 격상됐다.

현재 헐린의 최대 풍속은 시속 130마일(215㎞)에 달한다.


헐린은 이날 오전 10시 경보에서 최대 풍속이 시속 105마일(약 165㎞/h)로 2등급이었다가 불과 8시간여 만에 시속 130마일(209km) 이상인 4등급으로 급격히 위력을 키웠다.

헐린은 현재 플로리다 탬파의 서쪽 195㎞, 탤러해시의 남쪽 265㎞ 해역에서 시속 37㎞의 속도로 북북동쪽으로 이동 중이다. 현재 이동 속도로 미뤄보면 약 7시간 뒤 플로리다 탤러해시 남부 해안에 상륙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허리케인 경보와 돌발 홍수 경보가 조지아 북부와 노스캐롤라이나 서부까지 확대됐다.

AP통신과 CNN 방송 등 미 언론에 따르면 허리케인이 몰고온 폭우와 돌풍으로 이미 플로리다와 노스캐롤라이나의 여러 지역이 침수됐고 나무와 전신주들이 뽑혀 빗물에 떠내려가고 있다.

플로리다의 주도인 탤러해시 남부 해안에서는 최대 6m의 해일이 일 것으로 예보됐다.

미국의 정전현황 집계사이트인 파워아우티지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 기준 플로리다주의 32만가구(상업시설 포함)와 노스캐롤라이나주 1만6천가구, 조지아주 1만2천가구 등에 전기 공급이 끊겼다.

탤러해시를 비롯해 게인스빌, 탬파 등의 저지대에는 강제 대피령이 내려졌다.


탤러해시 지방 기상청은 "예측이 맞는다면 악몽 같은 해일 시나리오가 나타날 것"이라며 "제발, 제발 대피 명령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허리케인이 몰고 온 강풍으로 하늘길도 막혔다.

이날 탤러해시와 탬파, 클리어워터의 공항이 폐쇄됐다.

항공편 추적사이트 플라이트어웨어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으로 미국 내에서 약 1천20편의 항공편이 취소됐다.

플로리다 탬파 베이(만)의 양안을 잇는 바다 위 교량 '스카이웨이 브릿지'와 '하워드 프랭크랜드 브릿지'도 강풍과 해일 탓에 교통이 통제됐다.

플로리다 고속도로순찰대(FHP)가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영상에는 하워드 프랭크랜드 브릿지에 바닷물이 범람하면서 지나가는 차들을 덮치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 영상을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CCTV는 바람에 심하게 흔들리고 있는 모습이다.

허리케인에 대응해 플로리다와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이어 버지니아주까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미 연방 정부도 이날 각 주들이 요청한 비상사태 선포 요청을 승인하고 1천명 이상의 지원 인력과 수색·구조팀, 발전기, 물, 식량 등이 필요한 지역에 배치되도록 했다.

NHC는 헐린이 내륙으로 이동함에 따라 약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빠른 전진 속도로 돌풍을 일으키면서 남부 애팔래치아산맥을 포함한 미국 남동부 내륙을 완전히 관통해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헐린은 지난 6월 1일 시작된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의 8번째 폭풍으로 명명됐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기록적으로 따뜻한 해수 온도로 인해 올해 대서양 허리케인 발생이 평년보다 더 잦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NHC는 헐린에 이어 열대성 폭풍 아이작(Isaac)이 전날 대서양에서 형성됐다고 밝혔다.

이 열대성 폭풍은 대양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점점 강해져 이번 주말께는 허리케인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현재 아이작의 최대 풍속은 시속 85㎞로, 주말까지 버뮤다 일부와 아조레스 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