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쪽 화단에서 행복을

2024-09-23 (월) 방인숙 수필가
크게 작게
내게, 제일 감명 깊은 영화는 ‘마음의 행로(Random Harvest)’다. 마지막 장면에서 기억상실 남자가 비로소 옛집을 기억, 만개한 꽃길을 지나 물음표인체 간직하던 열쇠로 문을 열고, 아내랑 진짜로 재회한다. 이후 내 소망 중의 하나가 현관문 앞 꽃길이었다.

해서 이사 오자마자, 현관 길 양쪽잔디를 캐고 벽돌을 박은 폭 50cm 쪽 화단을 만들었다. 이 미니 꽃밭은 이른 봄, 첫 손님인 노랑 수선화에 이어 청색 히아신스가 폈다가 겸손히 스러진다.

이어 하얀 마가렛트들의 춤사위에 나비인양 꽃길을 거닐며 메밀꽃의 운치에 젖는다. 한 여름엔 서양꽃모종인 임페이션즈, 베고니아로 채웠다. 그러다 어릴 때 할머니랑 가꾼 정겹던 화단이 그리워 일년초로 대체했다.


아버지가 하늘로 가신 해엔 과꽃을 흰색으로만 심어 슬픔을 기렸는데, 개화기가 짧아 유감이었다. 엄마가 떠나셨을 땐 좋아하시던 코스모스로 장식, 추모에 잠기곤 했다.

그 다음 인연 맺은 화초가 국화과로서 10월 탄생화인 메리골드다.

옛적엔 금잔화라 불렀기에 영어이름이 Marigold구나 여겼다. 그런데 둘은 엄연히 다른 꽃으로 분류된단다. 멕시코가 원산지인 메리골드는 크게 두 가지다. 유럽으로 이주한 프렌치메리골드(만수국)와 아프리카로 이식된 아프리카메리골드(천수국)다. 별칭인 천수국, 만수국에서 짐작되듯 개화기가 6월부터 서리 맞을 때까지 길다.

몇 년 동안은 꽃송이가 테니스공 모양 둥글고 다알리아같이 소담한 천수국의 노랑이나 주황으로 통일, 단색으로 장식했다. 그러다 천수국보다 꽃은 작아도 노랑, 주황, 검붉은 색까지 어우러진 홑겹이나 겹꽃에다 가운데가 쏙 올라와 다채로운 만수국으로 바꿨다.

천수국의 ‘이별의 아픔’ ‘가련한 사랑’이란 슬픈 꽃말과 달리, ‘반드시 오고야 마는 행복’이란 특별한 꽃말에다 수명도 더 길으니까. 또 신비하게도 씨를 섞어 무작위로 뿌려도, 나름대로 ‘우량자손승계법칙’의 선택인지 각양각색의 꽃 잔치를 연다.

내가 쪽 꽃밭을 빛내줄 ‘마무리투수’로 10년도 넘게 메리골드를 기용하는 이유다. 어릴 때 꽃 선호도에서 늘 등외였던 금잔화가, 이 먼 타향에서 메리골드로 개명, 뒤늦게 내 반려식물로 등극할 줄은 몰랐다. 이렇게 30년 동안을 좋아하는 꽃들이 순서대로 피고 지니 쪽 화단은 늘 내게 행복이다.

흠이라면 자라는 여정에 툭하면 곁가지가 원줄기에서 갈라지며 부러지는 거다. 자랄 때라면 그나마 덜 아까운데 성숙해서 제 무게 때문에 부러지니 너무 애석하다. 줄기가 튼실하던 가, 감당할 만큼만 꽃을 피워야했다. 지나친 욕심의 결과다.

테이프로 붙여보고 부목을 대줘도 헛수고다. 작년에야 ‘혹시 기적이?’ 하며 훼절(毁折)된 걸 심고 보살폈더니, 오뚝이 같이 기사회생 복제됐다. 그나저나, 인간들도 삶의 무게가 버겁거나 절망적 세상살이 현실과 맞서도, 이런 식물마냥 새로운 기회창출로 재생치유 된다면, 험한 인생길도 훨씬 수월하련만...

<방인숙 수필가>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