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자택에서 노벨 경제학상 수상 소식을 전해 들은 클로디아 골딘 하버드 대학 교수가 미소 짓고 있다.<로이터>
올해 노벨 경제학상의 영예는 여성과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도와 임금 수준 등에 차이가 있는 이유를 규명한 미국의 저명한 노동경제학자 클로디아 골딘(77·여) 하버드 대학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9일(현지시간) "여성의 노동시장 결과와 관련한 우리의 이해를 진전시킨 공로"로 그에게 202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골딘 교수가 "수세기에 걸친 여성 소득과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포괄적 설명을 사상 처음으로 제공했다"면서 "그는 노동시장내 성별격차의 핵심 동인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골딘 교수는 2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축적된 미국 노동시장 관련 자료를 분석,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성별에 따른 소득과 고용률 격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피고 그러한 차이의 원인을 규명해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19세기 초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는 한때 감소했다가 20세기 이후 서비스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다시 증가세를 그려왔다.
교육수준도 지속적으로 향상돼 현재는 고소득 국가 대다수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교육수준이 크게 높은 상황이라고 노벨위원회는 지적했다.
하지만 아직도 여성은 세계 노동시장에서 과소대표되고 있으며, 노동으로 얻는 수입도 남성보다 적다고 노벨위원회는 지적했다.
하버드대 경제학과에서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종신 교수에 오른 골딘은 이런 차이가 출산과 육아에 따른 부담과 장시간 고강도로 일할수록 훨씬 더 많은 임금을 얻는 미국의 고용환경에서 나타난다고 설명해 왔다.
대학졸업과 취업 등으로 사회에 진출한 뒤 남녀는 동일선상에서 출발하지만 10년 정도가 지나면 상당한 임금 격차가 생긴다. 같은 직업을 갖더라도 소득에 차이가 난다는 이야기다.
주요 요인은 아이다. 아이를 낳고 기르는 행위는 거의 언제나 여성의 커리어에 악영향을 미치며 이는 '부부간 공평성'이 깨지는데서 비롯된다는 것이 골딘 교수의 지적이다.
아울러 시간외 근무와 주말 근무, 야근을 하면 각종 수당으로 더 많은 소득을 얻을 수 있는 미국의 기업 문화 때문에 각 가정은 남자는 일에 집중하고 아내는 아이를 돌보며 유연근무를 하는 식으로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택하게 된다.
특정 업무에서 여성을 배제하는 등의 노골적 성차별이 사라지고도 미국에서 성별 임금격차가 여전한 이유다.
골딘 교수는 그 결과 남성은 가족과 함께하기 힘들어지고 여성은 커리어를 포기해야 한다면서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사회적 차원에서 돌봄을 제공하는 등 일과 삶을 양립가능한 사회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선정 위원회 의장인 야코브 스벤손은 "노동에서 여성의 역할을 이해하는 건 사회를 위해 중요하다"면서 "골딘의 획기적 연구 덕분에 우리는 (성별격차의) 근본적 요인과 앞으로 해결해야 할 장벽들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됐다"고 말했다.
골딘 교수는 최근에는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여성의 일과 가정 균형에 어떻게 연결이 돼 있는지에 대해서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수상소감을 묻는 AFP 통신 취재진에 "나 뿐을 위해서가 아니라, 이 분야에서 일하면서 이렇게 많은 것이 바뀌었는데도 여전히 (남녀간 임금) 격차가 왜 큰지 이해하기 위해 애쓰는 많은 이들을 위해 매우 중요한 상"이라고 말했다.
이날 경제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면서 지난 2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3일 물리학상, 4일 화학상, 5일 문학상, 6일 평화상까지 2023년도 노벨상 수상자들의 면면이 모두 공개됐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총 11명이며, 이 중 7명(64%)이 남성이고 4명(36%)이 여성이다. 수상자의 평균 연령은 67.3세이나, 평화상을 제외하면 평균 68.9세로 집계됐다.
전년도에는 단체가 아닌 개인 수상자만 따졌을 때 전체 12명 중 남성이 10명(83%), 여성이 2명(17%)이었고, 수상자의 평균 연령은 70.9세(평화상 제외시 71.9세)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상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평균연령도 한층 젊어진 모양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