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통증 일으키는 다양한 질환
▶ 추벽증후군ㆍ점액낭염ㆍ활액막염
무릎을 다치지도 않았는데 어느 순간 무릎 주변이 붓고 아플 때가 있다. 흔히 무릎 통증은 고령인의 관절염이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젊은이도 격렬한 유산소운동을 하면서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자주 하면 무릎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종아리뼈와 허벅지뼈를 이어주는 무릎은 뼈ㆍ인대ㆍ연골 등을 비롯해 복잡한 구조로 이뤄져 무릎 연골이 퇴행해 관절염 외에도 추벽증후군ㆍ점액낭염ㆍ활액막염 등에 노출될 수 있다.
◇무릎에 ‘똑똑’ 소리 나는 ‘추벽증후군’
다친 적이 없는데 무릎에서 ‘똑똑’ 소리가 나면서 아프면 추벽증후군(plica syndrome)일 가능성이 있다. 추벽(皺)은 무릎 연골 측면의 부드럽고 얇은 막으로 생후 6개월에서 1년 안에 없어지지만 성인 3명 중 1명에게는 그대로 남아 있다. 추벽증후군은 무릎 연골 주위 추벽이 외상을 입어 두꺼워지거나 부으면서 연골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이때 반복적인 운동을 계속하면 추벽이 관절 주변 조직을 찌르면서 삐걱거리고 붓고 심하게 아프다. 등산ㆍ줄넘기ㆍ자전거ㆍ마라톤처럼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를 즐기면 추벽이 굵어지거나 두꺼워진다. 무릎을 계속 혹사하면 추벽이 주변 관절 조직과 부딪히면서 똑똑 소리가 나고 연골이 손상된다.
추벽증후군은 무릎 관절염과 증상이 매우 비슷하다. 무릎 관절염은 무릎을 움직일 때 머리카락이 스치는 듯한 가벼운 소리가 나고, 추벽증후군은 뼈가 부딪히는 ‘우두둑’ 소리가 들린다.
X선 촬영ㆍ자기공명영상(MRI)ㆍ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진단하기 어렵고, 숙련된 관절 전문의가 내시경으로 무릎관절 내부를 살펴 판단한다. 추벽 상태가 양호하고 연골 손상이 적다면 약물ㆍ물리치료로 고칠 수 있다. 만성화돼도 관절 내시경으로 유착을 일으키는 추벽 일부를 제거하면 된다. 추벽증후군 자체는 가벼운 질병이지만 방치하면 추벽 주변 대퇴 연골과 계속 마찰을 일으켜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이 되는 연골연화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릎이 붓고 물 차는 느낌 드는 ‘무릎 활액막염’
무릎이 전반적으로 붓고 열이 나며 물이 차는 느낌이 나면 ‘무릎 활액막염’일 가능성이 높다. 활액막은 무릎관절을 감싸는 관절낭 안쪽에 위치한 얇은 막이다. 관절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연골에 영양을 공급하는 윤활액을 분비한다. 외상이나 과도한 무릎 사용으로 활액막에 염증이 생기면 윤활액이 과다 생성돼 무릎 전체가 붓고 화끈거린다. 무릎 주변을 만지면 물컹거리고 부종으로 무릎이 잘 구부러지지 않는다. 무릎 관절염은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무릎관절을 사용할 때 심하게 아프지만 활액막염은 가만히 있어도 아프다.
평소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반복해 걸으면 무릎관절이 손상돼 무릎 활액막염이 생길 수 있다. 무릎관절을 보호하려면 오르막에서는 상체를 앞으로 약간 숙이고 보폭을 작게 하고, 내리막에서는 무릎을 더 많이 굽혀 무게중심을 낮춰야 한다.
활액막염은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 질환이나 통풍성 관절염이 원인일 수 있기에 빨리 치료해야 한다. 퇴행성 관절염으로 손상된 연골 조각이 관절강을 떠돌다가 활액막을 자극해 염증을 일으킬 때도 많다. 초기엔 염증 반응을 줄이는 소염제ㆍ휴식ㆍ냉찜질로 치료한다. 보존적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다면 류마티스성 활액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하녀 무릎병’으로 불리는 ‘무릎 점액낭염’
무릎 점액낭염도 젊은 층에서 발생하기 쉬운 무릎 질환이다. 무릎을 자주 꿇는 사람에서 발병률이 높아 ‘성직자 무릎병(clergyman’s Knee)’, ‘하녀 무릎병(Housemaid’s Knee)’ 등으로 불린다.
점액낭은 뼈와 뼈 사이에서 윤활유 역할을 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어깨ㆍ무릎ㆍ팔꿈치ㆍ엉덩이관절 등에 자리 잡고 있다. 무릎의 경우 슬개골 앞쪽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다. 무릎 사용량이 많으면 점액낭에 염증이 생겨 붓고 통증이 발생한다.
무릎을 꿇는 자세를 자주 취하면 무릎 앞쪽 슬개골과 점액낭이 자극받아 병이 쉽게 발생한다. 젊은 주부 중에는 점액낭염으로 발생한 무릎 통증을 퇴행성 관절염으로 오해해 노화가 시작됐다며 우울해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하지만 퇴행성 관절염과 통증 양상이 조금 다르다.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 내부가 삐걱거리며 아프고 시큰한 느낌이 드는 반면 무릎 점액낭염은 무릎 앞쪽 튀어나온 부분이 바닥에 닿을 때 화끈거리는 증상이 발생한다.
점액낭염은 무릎 외에도 다양한 부위에서 문제가 된다. 어깨에 과부하가 걸려 견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견봉하점액낭염’, 장시간 앉아 있어 골반 아래 뒤쪽 좌골이 눌려 통증이 느껴지는 ‘좌골점액낭염’, 오래 서 있으면 엉덩이 부위 근육이 마찰되는 ‘대둔점액낭염’, 너무 꽉 끼는 신발을 자주 신어 발목과 아킬레스건 주변이 아픈 ‘아킬레스 점액낭염’ 등이 대표적이다.
송상준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일상생활 중 무심결에 취하는 자세는 무릎관절에 독이 된다”며 “양반다리(책상다리), 쪼그려 앉기, 무릎을 꿇는 자세 등이 그렇다. 특히 무릎을 구부려 걸레질하면 무릎에 체중의 몇 배에 달하는 하중이 가게 된다”고 했다.
송 교수는 “대퇴 슬개골관절에 연골 마모나 손상이 심한 환자는 계단 오르내리기나 등산이 무릎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평지를 걷거나 실내 자전거 운동, 자유형 수영, 아쿠아 에어로빅 등의 근력 강화 운동과 저충격 유산소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고 했다.
<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