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한국계 퍼스트레이디 유미 호건 여사 CNN 기고
▶ ‘아메리칸 드림’ 인생사 소개하며 ‘증오 근절’ 촉구, “아시아계 미국에 묵묵히 헌신…이젠 침묵 않겠다”
래리 호건 메릴랜드주 주지사의 부인인 한인 유미 호건(한국명 김유미) 여사가 1일 급증하는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증오 범죄와 관련, “더는 침묵하지 않겠다”며 행동을 촉구하고 나섰다.
호건 여사는 이날 CNN 기고문에서 “미 역사상 첫 한국계 미국인 퍼스트레이디, 메릴랜드의 첫 아시아계 미국인 퍼스트레이디이자 이민 1세대로서 증오와 인종주의에 비통한 마음”이라며 “이제 목소리를 높여 행동을 요구할 때”라고 밝혔다.
호건 여사는 자신이 ‘아메리칸 드림’을 찾아 미국으로 이민 온 지 41년, 싱글맘으로서 세 딸을 키우기 위해 하루 14시간, 16시간씩 일하면서 지낸 시간도 20년이 된다면서 글을 시작했다.
한국전쟁 발발 9년 뒤 한국의 작은 마을에서 여덟 자녀의 막내로 태어나 양계장에서 자랐다는 호건 여사는 당시 대부분의 한국인은 가난했지만 가족 모두 부지런히, 열심히 일했다고 소개했다. 깨져서 내다 팔 수 없는 달걀이 어린 시절 간식이었고, 버스가 없어 매일 2마일을 걸어 학교에 다닌 일화도 곁들였다.
호건 여사는 스무살 때 미국으로 건너와 홀로 세 딸을 키우면서 아파도 쉬지 못한 채 일했다면서 “아이들 모르게 조용히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며 이민자로서 겪었던 설움을 털어놓기도 했다. 하지만 가족을 생각해야 했기에 포기할 수 없었다는 호건 여사는 딸들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하려고 무엇이든 했으며, 힘든 시절을 헤쳐나올 수 있었던 것도 딸들 때문이었다고 회고했다.
이후 뒤늦게 대학에 들어가 딸 또래의 아이들과 공부하며 순수미술 전공으로 석사학위까지 따낸 자신의 인생사가 곧 ‘미국의 이야기’라면서 “우리는 이 나라에 없어서는 안될 일부가 되었고, 미국을 만드는 데 기여해왔다”고 말했다. 호건 여사는 그러나 “여전히 우리는 차별과 인종주의에 직면해 있다”며 “증오범죄나 사건이 발생했을 때 어떠한 지원이나 경찰 대응도 제공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