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뼈 이식의 경우 치과의사의 능력에 따라 성공률이 좌우된다고들 하나, 따지고 보면 모두 해야 할 것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의 차이일 것이다.
수직 골 이식술은 오랜 기간의 치주염 등에 의해 낮아진 뼈를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고, 수직으로 뼈를 쌓아올리는 것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이 치과의사들 사이에서도 논란 거리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치아를 발치한 후 사방이 뼈로 둘러 쌓여있는 정도의 뼈 손상이 있는 부위만 가능하다는 것이 생물학적으로 옳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임상에서 현실적으로 필요한 술식은 수직으로 뼈를 쌓아올리는 방식이 간절히 필요한 경우가 흔하게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대부분의 경우 불가능하다고들 말하지만, 선택적으로 신중한 치료를 한다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일단 구덩이가 파이듯 한 곳은 뼈를 심고, 비흡수성 차폐막을 덮는다던가, 타이타늄으로 만든 막을 덮는다던가 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집을 지을 때처럼 뼈대를 형성하고, 뼈가 자라들어올 공간을 적절히 유지한다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 충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면 뼈는 수직적 골의 증강을 보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은 뼈를 덮고 있는 잇몸이 뼈를 따라서 증가되어져야 하는 문제가 남는다. 뼈가 증가된다고 하더라도 잇몸이 증가되지 않는다면 임플란트를 심는 것은 어떻게 된다 하더라도 나중에 크라운 등의 보철물을 올릴 때에 문제가 닥치게 된다.
몇 가지 치주적인 치료(잇몸치료)가 있다고 하더라도 훌륭한 대안이 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적 골이식술은 반면 얇아진 뼈에 대해 두껍게 폭을 넓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환자들을 보면,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를 심는 경우에 대한 근거로 수평적 골이식을 해야 한다는 치과의사들의 권유를 듣고 오신 분들이 있다. 그런데, 이는 치주염으로 심하게 녹고 있는 잇몸뼈에 대해서는 반드시 옳은 이야기가 아니다. 심하게 염증이 진행된 잇몸뼈의 경우는 염증제거가 완전히 되지 않은 경우, 어떠한 치료를 한다해도 심한 골흡수가 뒤따르게 된다.
결국 뼈를 심고, 임플란트를 심는다고 해도, 나중에 뼈의 심한 손실과 임플란트 주변에 뼈 손실로 인하여 임플란트 노출 등의 위험이 뒤따르게 된다. 해결책은 시간이 걸린다 하더라도 충분히 기다렸다가 뼈이식을 하거나, 염증을 제거한 후 뼈 이식만 한 후, 흡수되는 양상에 따라 임플란트를 심을 때 뼈이식을 더 해가면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이 권고된다.
이러저러한 모든 경우의 난관을 뚫고 임플란트가 완성된다고 하더라도, 보철적인 접근에서 크라운이나 브릿지 등의 선택이 남고, 어떻게 하면 오래동안 쓸 수 있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는다. 나아가서 훌륭하게 임플란트 치료가 끝났다 하더라도, 그 후에 철저한 관리 등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고생하게 되고, 임플란트를 쉽게 잃을 수도 있다.
문의 (626)810-0887, (참치과 원장 치의학박사 김성구)
<
김성 참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