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사(주지 설두 스님) 법회 중 금강경을 함께 읽는 장면.
사구계 하나라도 스스로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에게 일러주면 그 복이 헤아릴 수 없이 많다고 한다. 금강경에 나오는 말이다. 그렇다면 부처님 가르침, 즉 경전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어떤 이들은 자나 깨나 일어서나 앉으나 일할 때나 쉴 때나 읽고 암송하고 반복한다. 그것이 지나쳐 하루에 00경 몇 번 암송하기 같은 동아리가 있을 정도다. 어떤 이들은 횟수보다 간절함이 중요하다며 자신의 마음에 한 땀 한 땀 새기듯 숙독하는 것을 선호한다.
미국 불자들은 어떨까. 라이언스 로어(Lion’s Roar, www.lionsroar.com)가 최근 흥미로운 글을 실었다. 담마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How to Read Dharma)라는 제목의 8월31일자 기고문이다. 필자(Judy Lief)는 이 글에서 경전읽기를 명상 및 실천행과 조화를 이루는 3중주-선(禪) 교(敎) 행(行) 3중주-의 한 요소로 파악하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
글 첫머리에 “어떻게 우리는 담마(법), 즉 부처님 가르침과 하나가 될까?”라고 자문한 필자는 곧 “하나의 길은 명상(禪)을 통해서, 다른 길은 부처님 가르침 공부(敎)를 통해서, 또다른 길은 우리의 실천(行)을 통해서”라고 답한 뒤 “명상, 경전공부, 실천행이란 3요소는 서로 견제와 균형의 탁월한 시스템으로 담마가 우리의 삶 구석구석에 스며들도록 해준다”고 지적했다.
필자는 이어 “서구의 불자들 사이에서 명상(禪)은 경전공부(敎)나 실천행(行)보다 더 많은 주목을 받는다”면서도, “경전공부와 명상은 역동적인 듀오로서, 무분별해지면 명상으로 자신을 추스를 수 있고, 방만해지면 경전공부로 자신의 명상체험에 명확성을 주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명상과 경전공부를 통해 의식과 자비심을 키우는 건 좋지만, 진정한 시험은 실제생활에서”라며 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런 맥락에서 그는 자신이 “능동적 독경(active reading)”이라고 이름붙인 단계별 경전공부 방법을 제시했다.
▷신선한 시작: 짧은 텍스트 또는 긴 텍스트의 짧은 부분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읽기 전에 잠시 마음을 가라앉히고 호흡하며 긴장을 푼다. 자기의심, 안다 하는 자만심, 타인에 대한 공격성 등 경쟁심에 불타는 학생같은 태도를 버리고 신선하고 걸림없이 시작하라.
▷필링 얻기: 전체를 통독한다. 다시 큰소리로 읽는다. 의미포착을 위해 너무 애쓰지 않는다. 다시금 보면서 논리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누군가 뭘 읽느냐고 묻는다면 어떻게 대답할까 상상해본다.
▷더 파고들기: 한 번에 한 단락 또는 한 절씩 읽고 자문한다. 이 문장이 실로 가리키는 바는? 이 말이 타당한가? 내 경험과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가? 이 용어와 개념은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정말 이해하고 있는가? 본문의 기초가 되는 가정은 무엇인가?
▷가르침 체화: 자신에게 와닿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자신의 언어와 몸짓, 행동, 그림으로 표현해보라. 하나의 가르침이 자신의 일부가 될 때 나타나는 미묘한 변화를 알아차릴 것, 자신이 읽은 것을 그대로 읊는 것과 자신의 목소리로 표현하는 것의 차이를 알아차릴 것. 결론을 내기 전에 짧은 휴식을 가진 뒤 텍스트를 한 번 더 읽는다. 그리하여 텍스트가 자신의 마음에서 강처럼 흐르게 한다.
<
정리-정태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