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콩코드 전 해군기지, 이민자 수용소로 전환

2018-06-29 (금) 12:00:00 신영주 기자
크게 작게

▶ 시당국과 주민 반대로 계획 중단

콩코드 전 해군기지를 불법이민자 수용시설로 바꾸려던 계획이 시당국과 주민들의 반대로 중단됐다.

27일 열린 콩코드 시의회 미팅에서 당국은 국토안보부가 콩코드에 이민자 수용센터를 건설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데이비드 리빙스톤 콘트라코스타카운티 셰리프국장에 알려왔다고 밝혔다.

1942년 설립돼 2007년 폐쇄된 콩코드 해군무기고가 최대 4만7,000명 불법이민자를 수용하는 시설로 전환된다는 해군 초안 메모 내용이 지난주 타임지에 보도되자 시당국과 주민들이 반발해왔다.


지난 25일 에디 브리산 콩코드 시장는 “1만2,800에어커에 달하는 콩코드 해군무기고는 미환경보호국이 지정한 위험지역(Superfund site, 위험한 폐기물로 오염돼 인간의 건강 및 환경에 위험을 초래하는 지역)”이라면서 “서부 해안 최대의 탄약 및 폭발물 저장소인 무기고의 상당면적이 인간 거주환경에 적합하지 않다”고 해군 리처드 스펜서 장관에게 서한을 보냈다.

또한 “현재 이 시설에는 수도, 하수도, 전기공급에 필요한 인프라가 없다”면서 “콩코드 주민 주거지역과 인접해 있어 이민자 수용시설로 부적합하다”고 밝혔다.

마크 드사울니어(민주, 콩코드) 연방하원의원도 “1983년부터 해군기지를 정화해왔지만 여전히 오염된 상태”라면서 “이민자 수용소 설립은 부도적하고 비윤리적인 정책”이라고 트럼프 행정부를 비난했다.

26일 밤 콩코드 바트역에 모인 시위대는 시청으로 행진하며 이민자 수용소 건설에 반대했다.

콩코드시는 12년간 해군과 협상을 벌여 몇달내 토지를 양도받을 계획이었다. 시당국은 이 부지를 EB리저널파크 디스트릭과 함께 주거 및 상업지 개발로 전환할 예정이다.

<신영주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