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이 20일 오후 백악관에서 크리스텐 닐슨 국토안보부장관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밀입국을 시도하다 적발된 외국인들과 그들의 자녀를 함께 수용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AP]
트럼프 대통령이 20일 불법 입국자와 미성년 자녀를 격리 수용하는 정책을 결국 철회하고 이들을 함께 수용하도록 제도를 바꿨다.
격리 수용이 '비인도적'이라는 각계의 비난이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까지 확산하면서 공화당에서조차 반대 목소리가 우세해지자 평소와 달리 이례적으로 고집을 꺾고 물러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밀입국을 시도하다 적발된 외국인들과 그들의 자녀를 함께 수용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서명식에서 "이것(행정명령)은 가족들을 함께 있도록 하는 데 관한 것"이라며 "가족들이 떨어져 있는 모습이 좋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공화당 의원들과 만나 이날 중 이런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로써 밀입국자와 동행한 미성년 자녀를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격리 수용하는 정책은 지난달 초 시행된 지 한 달 여만에 폐지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아동 격리 수용 부분에서만큼은 물러섰지만, 나머지 다른 이민 관련 이슈에서는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공화당 의원들에게 "우리는 여전히 계속 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우리가 원하지 않고 용인하지 않는 사람, 범죄 등이 들끓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까지만 해도 아동 격리 수용 정책의 불가피성을 적극적으로 설파해왔다.
그는 전날 미국자영업연맹(NFIB) 행사에서 "부모로부터 아이를 격리하고 싶지 않지만, 불법 입국하는 부모를 기소하려면 아이를 격리해야 한다"면서 "밀입국하는 부모를 기소하지 않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었다.
그는 또 민주당이 불법 이민자들을 "잠재적 유권자"로 본다고 주장하며 이번 격리 논란을 포함한 모든 사태가 민주당의 입법 비협조 때문이라고 비판해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해명과 반박에도 불구하고 격리 정책에 대한 비난은 미국 사회 전체를 뒤흔들 만큼 급속도로 커졌다.
인권단체와 일반 시민들로부터 시작된 반대 캠페인은 재계에 이어 주지사들과 의회로 번졌고, 외국의 정부와 단체들에서도 비판에 가세할 정도였다.
특히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비판에 나섰고 프란치스코 교황까지 이번 사태가 유감이라는 반응을 내놨다. 메이 총리는 격리된 아동들이 철장과 같은 곳에 갇혀 지낸다며 "매우 불쾌하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서 지난 5월 5일부터 이달 9일 사이에 어린이 2천342명을 부모로부터 격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결정은 하원이 밀입국자와 미성년 자녀를 함께 수용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이민법안을 표결에 부치기로 한 뒤에 나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