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세기의 북미정상회담’

2018-06-11 (월) 12:00:00
크게 작게

▶ 트럼프·김정은, 싱가포르 입성

▶ 비핵화 합의수준에 세계 주목

‘세기의 북미정상회담’

트럼프 대통령이 10일 싱가포르에 도착해 환영객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AP]

'세기의 회담'으로 불리는 북미정상회담 당사자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0일(현지시간) 회담이 열릴 싱가포르에 입성했다.

두 정상이 입국하면서 싱가포르에는 12일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팽팽한 긴장감이 감돈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날 오후 2시 36분 에어차이나 소속 보잉 747기 항공기를 타고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했다.


김 위원장이 2012년 집권한 이래 판문점과 중국을 제외한 외국 방문은 이번이 처음으로, 김 위원장은 사실상 서방외교 무대에 첫선을 보였다.

그는 숙소인 세인트 레지스 호텔에 여장을 풀고 잠시 휴식을 취한 뒤 싱가포르 대통령궁인 이스타나로 향해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와 회담 하고 "조미(북미) 상봉이 성과적으로 진행되면 싱가포르 정부의 노력이 역사적으로 영원히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싱가포르 방문에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과 김영철 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리수용 당 부위원장 겸 국제부장, 리용호 외무상, 노광철 인민무력상 등이 수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 도착한 지 약 6시간 만인 이날 오후 8시22분께 전용기 에어포스원 편으로 싱가포르 파야 레바르 공군기지에 안착했다.

에어포스원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 등이 동승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전용기에서 내린 트럼프 대통령은 발라크리쉬난 장관 등과 간단히 환담했으며, 정상회담 전망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매우 좋다(very good)"고 답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두 정상은 12일 오전 9시(SF 시간 11일 오후 6시) 센토사 섬의 카펠라 호텔에서 역사적인 첫 정상회담을 한다.
‘세기의 북미정상회담’

김정은 위원장이 10일 싱가포르에 도착해 싱가포르 대통령궁으로 들어서고 있다.[AP]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비핵화와 미국의 대북체제보장 문제를 놓고 '빅딜'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세기의 담판'으로 불리는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이 얼마나 이어질지, 회담에서 어떤 결과가 도출될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황에 따라 12일을 넘어 연장될 가능성을 여러 번 거론한 바 있지만, 양측 관계자들은 '당일치기'를 기본 원칙으로 준비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로서는 회담이 하루 내에 마무리될 가능성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실리는 흐름이다.

로이터통신이 '잠정적 계획'이라는 전제를 달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당일인 12일 오후 2시 싱가포르를 떠날 예정이라고 보도한 것이 미묘한 파장을 일으킨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로이터통신 보도대로라면 김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을 5시간 만에 종료하고 떠나는 셈이 된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양측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 비핵화'(CVID)의 합의문 명시 여부 등을 놓고 막판 진통을 겪고 있는 것과 맞물려 첫 북미정상회담이 구체적 결실 없이 '상견례'에 그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반대로 양측간에 이미 합의문 도출이 잠정 완료돼 굳이 긴 시간이 필요 없을 가능성도 상정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시선도 일부 고개를 들었다.

이와 관련, 12일 회담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이튿날인 13일 오전 9시(싱가포르 현지시간) 현지에서 별도의 기자회견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렇게 되면 회담의 시작과 기자회견 모두 미국 현지 시청률이 가장 높은 프라임 시간대를 겨냥한 셈이 된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