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영화와 소설 같은 인생들

2018-04-21 (토) 김명욱/객원논설위원
크게 작게
영화나 소설 같은 생(生). 어쩌면 기구한 생일 수도 있다. 원래 영화란 허구를 바탕으로 한다. 시나리오(각본) 자체가 허구니 그렇다. 간혹, 투르 스토리(true story)로 영화를 만드는 것도 있다. 그러나 영화의 99%는 진실 같은 허구로 만들어진다. 그래도 영화를 보는 사람들은 영화에 빨려 들어가 울고 웃는다.

어떻게 보면 우리네 생 자체가 한 편의 영화일 수 있다. 살아 숨 쉬는 영화. 또 한 편의 소설일 수도 있다. 삶으로 쓰는 소설. 투르 스토리다. 허구가 개입될 여지가 없다. 오늘 하루도 우리는 삶의 소설, 혹은 생의 영화를 찍고 있다. 사실 지나간 날을 기억하면 긴 영화와 소설의 연속을 보는 듯하다.

영화와 소설 같은 생을 살았던 영화배우 최은희(92)씨가 지난 16일 별세했다. 애도하는 글을 보면 “영화에 살고 사랑에 살고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파란만장한 세월이 은막너머로 흘러갔다”고 그의 죽음을 평한다. 그는 김학성과 이별하고 신상옥 감독과 결혼(1953)해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다. 이후 수많은 작품들을 남겼다.


1978년 1월14일 홍콩에서 납치돼 북으로 간 그는 같은 해 7월19일 납치된 남편 신상옥과 함께 북한의 영화계를 이끌었다. 이 때 만든 <소금>에서 최은희는 모스크바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86년 3월13일, 신상옥과 오스트리아 빈에 있던 도중 미국대사관으로 탈출해 10년 이상 망명생활을 하다 1999년 영구 귀국했다.

영화를 통해 혹은 소설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변화를 받는다. 한 편의 영화가 수십만 명의 마음을 움직인 것도 있다. 1959년 미국에서 개봉된 <벤허>(Ben-Hur)다. 루 윌리스가 쓴 소설 <벤허/ 그리스도의 이야기>가 원작이다. 기독교적인 호화 스펙터클 영화. 이 영화 한 편으로 수십만 명이 크리스천으로 개종했다는 후문이다.

지금도 떠오르는 영상들. 특히 전차경기. 이 영화는 의상과 조각제작자 300명, 엑스트라 1만명, 낙타 200마리, 말 2,500마리가 촬영에 동원됐다. 각종 장면은 세트를 이용해 촬영됐다. 세트란 일종의 허구다. 예수가 나병 걸린 모녀를 고치는 장면. 성경엔 없고 소설엔 있다. 그러나 허구인 이 장면이 수십만 명을 기독교인으로 만들었다.

어제는 오늘의 허구일 수 있다. 내일은 또 오늘의 허구일 수 있다. 허구(虛構)란 픽션(fiction)이다. 픽션이란 사실이 아닌 가공의 인물 혹은 이야기를 뜻한다. 그렇다면 나 자신도 허구일 수 있나. 자신을 주인공으로 찍혀지는 생의 영화와 삶의 소설은 자신의 죽음을 통해 모두 허구로 밝혀질 수 있다. 허구는 그래서 꿈일 수도 있다.

한 편의 영화를 보고 나면, 한 편의 꿈을 꾼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킬 때가 있다. 꿈이란 무엇인가. 잠 잘 때 일어나는 영상의 무리들이다. 모두 허구다. 그러나 꿈속에서만은 진실이다. 하지만 깨어나 보면 거짓일 뿐이다. 우리네 생도 수명이 다하여 호흡이 멈추어질 때, 생의 영화와 삶의 소설은 모두 허구일 수 있지 않을까.

2011년 3월23일, 엘리자베스 테일러가 별세(79)했다. 최은희가 동양의 전통적 미인이었다면 엘리자베스는 서구의 전통적 미인에 속할 것 같다. 두 여인의 삶과 그리고 그들만이 가진 생의 영화. 엘리자베스는 7명의 남자와 여덟 번 결혼했다. 리처드 버튼과는 두 번 결혼. 말년의 알코올 중독과의 투쟁. 그리고 사망.

그가 레슬리 역을 했던 <자이언트>는 지금도 생생하다. 그는 1966년작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Who's Afraid of Virginia Woolf?)에서 알콜중독자 마사 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34살의 나이로 어쩌면 그렇게 중독자 역을 잘 하는지. 미래의 그를 연기했던 걸까.

우리는 매일 자신의 영화를 찍고 소설을 쓰고 있다. 영화와 소설 같은 인생들이다. 최은희와 엘리자베스처럼은 찍혀지지 못하지만. 그것보다도 더 귀하고 하나밖에 없는 영화를 우리네는 찍고 있다. 아니, 찍히고 쓰여지고 있다. 하늘과 땅으로부터. 꿈같은 일생이 지나가도 영원 속에 영원히 남을 우리만의 영화(Movie)와 삶의 소설(Novel)을. 이것만은 허구가 아니겠지.

<김명욱/객원논설위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