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SF총영사관 1분기 민원처리현황

2018-04-05 (목) 12:00:00 신영주 김철수 기자
크게 작게

▶ 국적이탈 급증... 사상 최고치

▶ 병역미필 이탈자 비자 제한탓

국적법과 병역법으로 인한 선천적 복수국적자들의 피해가 이어지면서 올해 1분기 한국 국적포기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3일 SF총영사관이 발표한 3년간 1분기 영사업무처리 현황에 따르면 국적이탈 업무 건수는 2016년 46건, 2017년 52건, 2018년 287건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 5.6배 늘어났다.
국적상실 신고도 올해 1분기 353건을 기록하며 2016년 179건, 2017년 125건으로 전년대비 2.8배 증가했다.

‘국적이탈’이란 출생 당시 부모 가운데 어느 한 명이 한국 국적자여서 선천적 미국과 한국의 복수국적을 갖게 된 2세가 한국 국적을 포기하는 것이며, ‘국적상실’은 이민이나 결혼 등을 통해 시민권을 취득한 1세가 국적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SF총영사관 관계자는 "올해 18세가 되는 2000년생들의 국적이탈 신고 마감일이 3월말인데다가, 5월 1일부터 한국에서 병역을 이행하지 않고 외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재외동포 체류자격(F4) 제한을 강화하는 법안이 시행되기 때문에 국적이탈 및 상실신고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통과된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올해부터 발효됨에 따라 오는 5월부터 병역 이행 없이 국적이탈 및 상실 신고를 한 재외 한인에 대해서는 만 40세까지 재외동포(F4) 비자를 발급받을 수 없게 됐다.

이 법안은 국적 변경을 악용해 병역을 회피하는 사람들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으나, 법 조항이 병역의무 회피 의도가 전혀 없는 ‘선천적 복수국적’ 신분의 미국 태생 한인 2세들까지도 그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어 선의의 피해자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행법은 병역 회피자에 대한 재외동포 체류자격 제한을 ‘병역을 기피할 목적으로 해외 국적을 취득한 경우’에 대해 38세까지 제한하도록 하고 있으나, 개정안은 여기에서 제한 연령을 만 40세까지 높이고 ‘병역을 기피할 목적’이라는 조항을 아예 삭제해 버렸다.

이에 따라 부모 한 쪽이 한국 국적인 가정에서 태어난 미국 태생 한인 2세의 경우 ‘선천적 복수국적’인 상태에서 만 18세에 한국 국적을 포기하는 ‘국적이탈’을 할 경우 이번 개정안의 제한 대상에 걸리게 돼 재외동포 체류자격을 만 40세가 될 때까지 받을 수 없게 된다.

재외동포 체류자격인 F4 비자를 받으면 외국인 신분이 아닌 한국 국적자와 마찬가지로 한국 내에서 자유롭게 취업 등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데, 미국 태생 한인 2세들이 선천적 복수국적자라는 이유로 여기에 제약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SF총영사관은 그러나 개정안 적용 이후에도 선천적 복수국적자의 경우 교수(E1) 비자나 일반 연수(D4) 비자, 회화지도(E2) 비자, 예술공연(E6) 비자 등 한국 내 취업을 다른 비자 발급은 여전히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개정안 시행 이전 이미 국적 이탈이 완료됐거나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국적이 상실된 경우 현행과 동일하게 재외동포비자 발급이 가능하다.

한편 SF총영사관은 올해 3분기 총 6,917건의 민원을 처리, 전년(4,737건)동기대비 46.4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신영주 김철수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