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제주 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는 30일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개최된 제11차 회의에서 제주 해녀문화(Culture of Jeju Haenyeo)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확정했다.
제주 해녀문화는 앞서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로부터 ‘등재 권고’ 판정을 받아 등재가 확실시됐다.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제주 해녀문화는 ‘물질’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연대의식을 강화하는 ‘잠수굿’, 바다로 나가는 배 위에서 부르는 노동요인 ‘해녀노래’ 등으로 구성된다.
무형유산위원회는 제주 해녀문화에 대해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준다”며 “안전과 풍어를 위한 의식, 선배가 후배에게 전하는 잠수기술과 책임감, 공동 작업을 통해 거둔 이익으로 사회적 응집력을 높이는 활동 등이 무형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로써 한국이 보유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을 시작으로 강릉 단오제(2005), 강강술래·남사당놀이·영산재·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처용무(2009), 가곡·대목장·매사냥(2010), 택견·줄타기·한산모시짜기(2011), 아리랑(2012), 김장 문화(2013), 농악(2014), 줄다리기(2015)를 포함해 19건으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