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우 경 <자생한방병원 풀러튼 분원 원장>
좌골신경통, 흔히 ‘좌골’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이 이름은 사실 질환명이 아니다.
엉덩이로부터 다리로 이어지는 통증을 말하는 증상의 이름일 뿐이다. 마치 위염, 위궤양, 위산역류, 위암 등의 공통된 증상은 단순히 ‘복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처럼 좌골신경통은 어떤 증상의 원인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겉으로 보이는 증상을 말한다.
좌골은 엉덩이에 있는 큰 뼈의 이름이고 좌골신경은 엉덩이뼈 안쪽으로 지나가는 엄지손가락만한 굵기의 제법 큰 신경이다. 이 신경은 허리에 있는 척추에서 갈라져 나와 엉덩이뼈를 지나서 허벅지, 무릎 뒤, 종아리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허리나 엉덩이 부위에서 이 신경이 무언가에 압박을 받으면 당연히 이 신경이 지나가는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까지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 원인으로는 허리디스크, 퇴행성디스크,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이상근증후군 등이 지목되고 있다. 이것들은 척추 사이에 있는 물렁뼈인 디스크의 문제이거나 또는 척추뼈 자체의 문제이거나 골반에 있는 이상근이라는 근육이 신경을 압박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이 중에 어느 것이 그 원인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통증의 위치로만은 알 수가 없고 X-ray 나 MRI를 촬영하였을 때 정확히 진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좌골신경통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증상에 맞는 적절한 진단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증상만 가지고 디스크를 원인으로 지목하여 위험을 무릅쓰고 디스크 수술을 받은 이후에 그래도 좌골신경통이 계속 반복되어 다시 정밀검사를 받았더니 결국 이상근 증후군이라고 밝혀지는 보고도 심심치 않게 받게 된다.
또는 좌골신경통이라는 증상만 가지고 그 증상에 대한 일차적 치료만 계속하다가 신경손상이 악화되어 다리의 마비에까지 이르게 되는 경우도 종종 보게 된다. 다리에 마비가 심해진 경우 집중치료를 하더라도 치료시기가 늦어서 약간의 후유증이 평생 남는 경우도 있으니 특히 조심해야 한다.
좌골신경통은 신경의 압박이 매우 심해서 다리에 힘이 점점 더 빠지거나 대소변 장애가 있는 5% 미만의 특이한 경우를 제외한다면 한방으로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다.
우선 좌골신경과 디스크, 뼈 혹은 근육 사이에 발생한 접촉으로 인한 염증반응을 줄이기 위해서는 한약 처방이 필수이다. 이 한약은 염증으로 인한 통증을 줄일 뿐만 아니라 좌골신경과 인대, 디스크 자체의 재생을 돕는 효능이 있어서 이후에 후유증 회복에도 큰 도움을 준다.
아울러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통증이 있는데 이를 위해서 침 치료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골반과 척추의 틀어짐을 교정하는 카이로프랙틱 치료도 병행되어야 한다.
(714)773-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