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출산 여성의 지속적인 허리통증

2011-10-25 (화) 12:00:00
크게 작게

▶ ■ 건강한 삶

임신을 하게 되면 음식 하나, 작은 행동마저도 조심스럽다. 특히 태어날 아기를 위해 건강에 많은 신경을 쓰게 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산모가 제대로 된 치료를 못 받는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허리는 임산과 출산으로 인해 나빠지기 쉬운 대표적인 부위로, 임신 중 허리 통증을 느끼면서도 ‘아이가 태어나면 괜찮겠지’하면서 방심했다가는 허리상태가 걷잡을 수 없이 나빠지기 쉽다.

최근 조사에서 출산 이후의 여성들 중 상당수가 임신 중에 경험했던 통증을 출산 이후에 더 심하게 겪는다는 결과가 발표돼 임산부들에게 경종을 울리고 있다. 10월10일 임산부의 날을 맞아 자생한방병원은 출산한 지 3년 이내의 여성 118명을 대상으로 ‘출산과 요통의 상관관계’에 대해 통계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에서 임신 중과 출산 후의 통증지수를 분석한 결과, 출산 후 허리 통증이 그대로(29%)거나 증가했다(42%)는 응답이 전체의 71%에 달해 임신 중에 생긴 통증이 출산 이후에도 이어지거나 심해질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냈다.


임신을 하면 태아가 자라 배가 나오면서 체중의 중심이 신체 앞쪽으로 쏠리게 되고 그에 따라 체중의 부하를 감당하고 있는 척추와 골반, 무릎, 발목 등의 부위에 부담이 가게 된다. 특히 임신 5개월 이후부터 분비되는 릴렉신 호르몬은 치골관절의 결합을 느슨하게 해 질과 자궁의 하부를 넓혀줘 아기가 쉽게 나오는 이점이 있지만 이로 인해 허리와 골반 부위의 인대가 느슨해져 요통이 발생하게 된다.

과거 디스크 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 중 89%가 통증이 그대로거나 심각해졌다고 응답, 전체 평균인 71%보다 무려 15%나 높은 수치를 보여 출산 후 허리상태가 악화될 확률이 더욱 높음을 나타냈다.

허리 통증을 겪는 임신부 중 병원을 찾는다는 사람은 3%에 불과했고, 쉬거나(46%) 참거나(15%) 파스를 붙이는(10%) 등의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조치는 출산 후 통증 증가의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출산 후에도 건강한 허리를 유지하려면 언제부터 어떤 관리가 필요할까. 임신 계획 전에 하는 관리가 가장 이상적이며 자연분만은 출산 후 3주 후부터, 제왕절개의 경우는 8주 후부터 본격적으로 척추관리를 하는 것이 좋다.

출산 후 골반이 벌어지며 허리 주변 뼈마디와 근육이 이완되고 수축력이 저하되면서 몸의 전체적인 회복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 때 척추 관리를 소홀히 하면 퇴행성 척추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기도 한다.

또한 이완된 뼈와 근육이 정상적으로 돌아오기 전에 무리한 다이어트는 피해야 하며 허리와 골반 근육이 약해진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임신기간이라도 허리 통증이 심하거나 종아리 뒤쪽으로 짜릿한 통증이 있고, 손과 발이 저리는 등의 증상이 있을 때는 경추나 요추의 척추질환의 가능성이 의심되므로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풀러튼 (714)773-7000, LA (323)677-4900, 샌호제 (408)645-8232


이상화
자생한방병원 미주분원 원장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