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6개 유명 젖병 제조사들이 유해 논란을 빚어온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가 검출되는 젖병 판매를 중단한다는 뉴스 때문에 엄마들이 불안하다. 비스페놀 A는 무엇일까? 비스페놀 A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된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등 플래스틱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1891년 러시아 화학자 디아닌(A.P. Dianin)에 의해 처음 합성됐으며 일반적으로 다양한 플래스틱 제품을 만들어내는 PC 제품에서는 끓이거나 뜨거운 음식을 담거나, 전자레인지에 가열하면 환경호르몬의 주범인 ‘페놀’과 아세톤, 염소 등으로 구성돼 비스페놀 A가 검출될 수밖에 없는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플래스틱 제품 가열때 검출… 유방암 등 일으켜
또 강력한 세제를 사용하거나 산성 또는 고온의 액체 속에 비스페놀 A로 만들어진 플래스틱 제품을 넣으면 적은 양이나마 녹아 나올 수 있다.
비스페놀 A는 폴리카보네이트나 에폭시 수지 같은 플래스틱 제조의 원료로 사용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하게 만들 수 있고 고온에서 삶거나 던져도 잘 깨지지 않는 특성 때문에 CD의 재료나 음식 용기, 젖병으로도 애용된다. 캔 이음부에 사용하는 코팅제인 에폭시 수지에서도 검출된다.
1930년대에는 난소가 없는 쥐에 비스페놀 A를 주사한 실험을 통해 비스페놀 A가 합성 에스트로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이후 세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매우 낮은 농도에서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때문에 남성은 정자 수의 감소나 여성화, 여성은 성 조숙증 같은 건강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지난해에는 아주 적은 양에서도 비스페놀 A가 태아의 신경발달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바 있으며, 지난 10년간 130건 이상의 연구에서는 비스페놀 A가 유방암, 비만, 심장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또 최근에는 신시내티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끓는 물에 폴리카보네이트 물병을 넣어본 결과 차가운 물이나 적당한 온도의 물에 노출시켰을 때보다 비스페놀-A가 무려 55배나 더 빠르게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
또 비스페놀 A는 소량이라도 몸 안에서 축적되는 특성이 있어 또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젖병뿐 아니라 재사용 가능한 물병 역시 뜨거운 물을 담게 되면 비스페놀 A가 나올 수 있다.
FDA에서는 BPA-free 제품의 플래스틱이나 유리 젖병을 사용할 것, 뜨거운 음식은 유리, 도자기, 스테인레스 스틸 제품의 용기에 담을 것, 넘버 7이라고 리사이클링 표시된 플래스틱 제품(BPA로 만들어진 제품) 사용은 피할 것, 폴리카보네이트 플래스틱 용기는 전자레인지에 돌리지 말고 대신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유리 제품을 쓸 것, 캔 음식 사용도 줄일 것 등을 권하고 있다.
<정이온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