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편두통 전조증상땐 몸·마음 편안하게

2009-03-03 (화) 12:00:00
크게 작게
편두통은 겪는 사람만이 그 고통을 안다고 할 정도로 고통이 심한 두통이다.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고, 진통제도 소용없고, 아무 일도 할 수 없게 만드는 통증을 가져온다. 증상이 너무 심하면 환자는 그저 조용한 곳에 눕고 싶어한다.


핫 팩·아이스 팩 찜질
통증 부위 마사지 도움


규칙적인 수면 시간
식사 거르지 않도록



편두통은 한쪽 또는 양쪽머리에서 맥박이 뛰는 것 같은 통증에다가 눈의 통증, 메스꺼움, 구토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한번 통증이 시작되면 4~72시간이나 지속된다.

여성의 약 17%, 남성은 약 6% 정도가 편두통을 경험한다.

또한 간혹 편두통이 시작되기 전 눈에서 불이 번쩍이는 것 같거나 잘 안 보이는 것 같거나, 팔 다리가 쑤시는 전조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편두통이 있는 동안에는 밝은 빛이나 소음이 거북스럽고, 기침을 하거나 몸을 움직일 때마다 두통이 더 악화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편두통이 왔을 때는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현명할까? 건강한 습관과 간단한 방법으로도 평소 편두통이 오기 전에 예방이 가능하다. 평소 잘 관리하는 방법에 따라 통증의 횟수를 줄이고 통증의 심한 정도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주변 환경을 편안하게 유지한다=편두통의 신호가 온다면 주변 환경을 조용하게 바꾼다. 조명의 밝기를 낮춰 조절하고, 편안한 분위기로 만든다. 핫 팩이나 아이스 찜질팩을 준비해 머리나 목 주변에 갖다 댄다. 아이스 팩은 통증 부위의 감각을 줄여 통증에 대한 감각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핫 팩은 근육을 부드럽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미지근한 물에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것도 핫 팩을 이용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주변 환경을 편안하게 한 뒤 통증 부위를 부드럽게 마사지해준다.

#숙면을 취한다=편두통은 잠에 빠지게 하거나 혹은 밤의 불면증을 야기하기도 한다. 잠을 잘 자는 것은 편두통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규칙적인 수면시간을 갖도록 해야 한다. 주말을 포함해서 매일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아침에 일어나고, 밤에도 같은 시간에 취침하도록 해야 한다. 낮잠이 필요하면 자도 되지만 1시간 이상은 자지 않도록 한다.

#규칙적인 식생활=매일 같은 시간에 식사를 하도록 한다. 또한 끼니는 거르지 않도록 한다. 특히 아침식사는 꼭 먹는다. 6시간 이상 공복상태를 유지하면 혈당량이 줄어 뇌혈관이 수축된다. 수축된 혈관이 다시 늘어날 때 두통이 잘 발생한다. 또한 두통 유발 음식을 피한다. 치즈 땅콩 알콜 등 아민이 포함된 음식, 인공조미료를 사용한 음식, 카페인이 든 음식은 두통을 잘 유발한다. 철분과 비타민B를 꾸준히 먹는 것도 좋다. 철분은 혈관 내 산소를 공급하고 혈관이 늘어나는 것을 막는다. 편두통 환자에게 비타민B 결핍증이 잘 나타난다. 닭고기 콩 건포도 등에 비타민B가 많다.


#운동도 매일 규칙적으로 한다=걷기, 수영, 자전거타기 등 천천히 적당하게 시작한다. 한편 너무 심한 운동은 오히려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물을 충분히 마신다=물을 자주 마셔 탈수현상을 피한다. 탈수가 되면 두통이 잘 생긴다.

#스트레스를 관리한다=마음을 편히 가진다. 항상 웃는 얼굴을 유지하고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않는 것이 좋다. 매일 20분 정도는 심호흡법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이온 객원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